조선시대 과거제도와 교육기관

참고문헌
홈 > 뿌리알기 > 참고문헌
참고문헌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교육기관

관리자 0 4502 0

3232235521_Pchq0v9H_3f32eb7c1e305d3a5f620eea50e6c789628c1f85


과거시험, 2000:1의 경쟁률! 
3232235521_xKsGuC9k_b95174e3dcc4288cb328db9d59d290f355e03b52 

 

과거시험을 준비해 온 李유생(유학을 공부하는 학생), 의연한 마음으로 공고를 바라보았습니다. 이번에도 응시자가 6만 명이 넘었습니다. 그 중 초시를 통해 250명을 걸러냈고 李유생은 복시를 통해 33명 안에 들어야 하는 것이 두 번째 관문이었습니다. 열심히 준비한 李유생이기에 두렵지 않았습니다. 그 날 밤, 여느 날과 다름없이 존경각(성균관 내 도서관)에서 공부를 했습니다. 과거시험 공고가 난 후 유생들의 눈에서 광채가 뿜어져 나왔습니다. 


李유생은 5세부터 지금까지 24년 간 책을 놓아본 적이 단 한순간도 없었습니다. 한양 아이들이 4부 학당에 다닐 때 李유생은 강릉의 서원에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13세가 되었을 때 시 2과목과 나라 시무에 관련된 계책 2과목을 보는 진사시에서 장원으로 합격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천재가 태어났다고 말했지만 그보다 나라를 위해 무언가 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기뻤습니다.

 

3232235521_N02AlyQo_3794f501d892356d721b3e5157592b963d88f991

[조선시대에 관리직이 되기위해서는 초시(1차), 복시(2차), 전시(3차 임금님 면접) 시험을 거쳐야 가능]

 

공고는 암행어사로 났지만 암행어사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과거급제라는 영예의 순간을 맞이해야 합니다. 이제 과거 급제를 위한 마지막 관문이 남은 셈입니다. 복시! 이 시험에서 무조건 33명 안에 들어야 합니다. 되도록 좋은 성적으로 합격해야 암행어사가 될 수 있습니다. 시험과 시험사이 1일씩 간격을 두는데 이 시간이 더 초조하고 긴장됩니다.

 

 

3232235521_DdxeZnfI_b53d32924c3f6493b17ac62fc776fbb689f30890
과거시험장, 시험 절차를 엄격히 따르라! 
3232235521_xKsGuC9k_b95174e3dcc4288cb328db9d59d290f355e03b52

 

그로부터 하루 뒤, 과거시험장에 입실했습니다. 3년에 한 번 열리는 시험이기에 李유생을 비롯한 수많은 유생들이 긴장하는 날입니다. 조선팔도에서 많은 유생들이 모여들어 과거시험장은 북적였습니다. 감독관이 어수선한 자리를 정돈했고 곧 시험문제가 공개되었습니다.

 

3232235521_kyXzIU7G_041f86dd3d4e74c82359768a8483e88dfc363c64

 

李유생은 시험문제가 나오자 정확히 읽고 되새겨 보았습니다. 원고지에 그 시제(시험문제)를 다시 한 번 썼습니다. 
“응시자 여러분들은 시험의 서론, 본론, 결론 형식에 맞춰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험의 형식을 갖추지 않은 답안지는 채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감독관이 공지를 하자 응시자들의 손은 바빠지기 시작합니다.

 

3232235521_Qnl7XVEM_9b42925b0adcb0367e9f69558e4212bbbfc54305


 

李유생은 지금까지 자신이 다양한 책을 읽고 주위를 살펴보면서 교육에 대해 갖고 있던 생각을 차분히 정리해가며 써내려가기 시작했습니다. 성리학을 넘어선 실학을 강조하며 실천과 실용을 강조하는 글을 써내려갔습니다. 도중에 손목이 저려와 몇 번이나 붓을 놓았는지 모릅니다. 날은 저물어 가고 있었습니다. 유성당 내부에 등불이 밝혀졌습니다. 정말 피가 마르는 시험장이었습니다. 길어지는 시험으로 중도에 포기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李유생은 머리를 맴도는 교육의 청사진을 써내려갔습니다. 그렇게 다 써내려간 화선지 길이는 10m에 이르렀습니다.   

 

 

3232235521_DdxeZnfI_b53d32924c3f6493b17ac62fc776fbb689f30890
숨 막히는 결과발표, 33명을 선발하라! 
3232235521_xKsGuC9k_b95174e3dcc4288cb328db9d59d290f355e03b52 

3232235521_BxkWJb3P_2503d6cd608fe620a890218ba20801863532565d

 

 

결과 발표만이 남았습니다. 숨 막히는 순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선 33명을 호명합니다. 이 33명은 사실상 과거급제 입니다. 그 다음 전시에서는 임금이 33명을 만나 등수를 매겨 갑과 3명, 을과 7명, 병과 23명으로 나눕니다. 李유생은 그저 하늘만 바라보았습니다. 시험은 여러 번 보았고 합격자 발표에도 여러 번 호명되어 봤지만 매번 시험이 끝나면 기대감과 동시에 공허함이 밀려왔습니다. 기다림 끝에 영의정과 대신들이 나왔습니다.

 

“문과 대과에 합격한 33명을 호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2,500번 경기도 김수영, 15,231번 강원도 박현진, 17,190번 충청도 송방기!”

계속되는 호명이 진행되었습니다. 아직 李유생은 불리지 않았습니다. 李유생은 이번에 운이 없나보다 생각하고 돌아서려 하는데, “장원급제 32,150번 이율곡!”

이라는 호명이 들립니다. 李유생은 바로 이율곡! 과거시험계의 천재라 불리는 이율곡 선생이었습니다. '구도장원공'으로 불리는 이율곡은 9번의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9번 모두 장원급제를 했습니다.

   

<위는 이율곡 선생이라는 특정인물을 지정해 작성한 것이지만 과거시험을 치르는 응시자는 반드시 이런 과정을 거쳐 급제의 영광을 안았습니다.> 

* 위 글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재구성한 것임을 알려 드립니다. *


 

3232235521_DdxeZnfI_b53d32924c3f6493b17ac62fc776fbb689f30890
조선 시대 1차 초시에  도별 향시 합격자 배정 
3232235521_xKsGuC9k_b95174e3dcc4288cb328db9d59d290f355e03b52 

 

조선시대 과거제는 크게 문과와 무과, 잡과로 나누어져 있다. 문과는 학문의 깊이가 시험대상이고 무과는 무예가 주 시험대상이다. 잡과는 역관, 의관 등 기술 관료를 뽑는 시험이다. 잡과는 일반적으로 중인들만 응시하는 것이어서 문과, 무과에 비해 격이 낮았다. 이 중 가장 중요시 여기는 시험이 바로 문과였다. 우리가 말하는 과거제는 보통 문과의 시험을 말하는 것이다. 문과는 다시 소과와 대과로 분류됐다. 소과는 생원과 진사를 선발하는 시험이고, 대과는 국가의 정식 관료 33명을 선발하는 시험이다. 일반적으로 과거라 함은 바로 이 문과의 대과를 지칭했다.


(아래) 초시 240명 선발시 도별 향시 합격자 배정
 

 %C8%AB2.jpg?type=w2

 

조선시대의 과거제는 지금의 공무원 시험, 각종 고시, 취업보다 훨씬 높은 경쟁률을 자랑했다. 문과의 평균 응시 인원은 약 6만 3천명이었다고 한다. 문과는 소과 2단계(초시, 복시)와 대과 3단계(초시, 복시, 전시)로 나뉘어져 있는데 총 5단계를 모두 통과해야 급제를 할 수 있었다. 대과는 생원, 진사, 성균관 유생, 3품 이하의 현직 관리 등이 응시할 수 있었다. 즉 대과 자체도 보통 소과를 합격하여야 응시할 수 있었다. 대과에 응시하여 3차에 걸쳐 시험을 보아 갑·을·병 3과로 나누어 그 등급이 결정되었는데, 갑과의 장원 급제자는 종6품 이상의 참상관으로 임명되고, 병과 합격자는 정9품 이상의 관리로 임명되었다. 


각도의 인구 비례로 초시(1차)에서 240명, 복시(2차)에서 33명, 전시(3차)에서 등급(순위)을 결정하는 시험을 치렀고 합격자에게는 ‘홍패(대과 합격증)'와 관직이 부여되었다. 응시자들은 평균 다섯살 때 부터 하루의 대부분을 학업에 투자하여 평균 30년을 공부하였다. 문과의 최종 급제자 평균연령이 35세인 것을 보면 과거제의 어려움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다.
3년마다 한번 시행되는 과거제의 최종 급제자는 33명이었다. 3년에 한번 있는 시험에 약 6만 3천여 명이 응시하여 단 33명의 합격자만 나오는 경쟁률 1900대 1, 최고 난이도의 시험이 바로 조선시대 과거제도였다.
 

하지만 예외는 있는 법. 바로 율곡 이이이다. 이이는 ‘구도장원공’이라는 별명을 지녔는데, 이는 과거시험에서 9번 장원급제했다는 의미다. 한 번도 급제하기 쉽지 않은 시험이 과거시험이고, 여기서 장원급제는 그야말로 하늘의 별따기인데, 9번이나 장원급제했으니 조선 500년 역사상 최고의 인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556년 별시에서 당대 학자 수 백명이 몇 달을 고심하여 만든 문제를 단 3시간 만에 ‘천도책’이라는 제목으로 답안을 작성해 감독관들을 놀라게 하였다.

 

 

 %C8%AB3.jpg?type=w2

<18세기 말 과거 시험장의 허술한 모습을 나타낸 김홍도의 그림>

 

 

그렇다고 과거제도가 꼭 공정한 시험은 아니었다. 초기에 엄격했던 시험은 조선 후기로 갈수록 허술해졌다.
응시자가 책을 베끼거나, 시험지 바꾸기, 합격자 바꿔치기 등이 성행 하였다. 또한 권력가나 특정 정파가 자신의 친인척에게 의도적으로 후한 점수를 주어 합격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또 출제문제를 더 가까이서 보기 위해 좋은 자리를 잡으려 시험장에서 폭력까지 난무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과거제도는 많은 스토리가 있는 시험이었다.



, , ,

0 Comments
Hot

인기 조선시대 및 고려시대 봉작,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댓글 0 | 조회 4,391 | 추천 0
1. 조선시대 봉작.품계 및 관직2. 고려시대 관직과 품계품계(品階)(현대의 직위)관직명(官職名)정1품(국무총리)太師(태사):태부(太傅),태보(太保),삼중대광(三重大匡),벽상삼한삼… 더보기
Hot

인기 묘소 구조와 명칭(용어)

댓글 0 | 조회 11,902 | 추천 0
묘 소(墓 所) 유해(遺骸)나 유골을 묻은 장소를 말하며, 묘(墓), 분묘(墳墓), 무덤이라고도 한다. 묘소는 시신(屍身)이나 유골(遺骨)을 처리하는 장소인 동시에 제사(祭祀)를 … 더보기
Hot

인기 고려시대 지방통치제도에 관한 고찰(2/2)

댓글 0 | 조회 3,972 | 추천 0
Ⅴ. 지방의 중간통치기구 1. 고려 지방 중간기구의 구조 고려의 지방제도는 三縣制를 기본으로 구성되었다. 전국에 약 500개의 州?府?郡?縣이 설치되어 지방행정구획으로 삼고 있었는… 더보기
Hot

인기 고려시대 지방통치제도에 관한 고찰 (1/2)

댓글 0 | 조회 4,702 | 추천 0
고려시대 지방통치제도에 관한 고찰 Ⅰ. 머릿말 - page 1 Ⅱ. 지방 제도의 기원과 성립 - page 1~3 1. 통일신라와의 연관성 2. 고려 지방제도의 또 다른 특성 Ⅲ. … 더보기
Hot

인기 고려의 과거제도

댓글 0 | 조회 8,740 | 추천 0
1. 과거제 성립과 법제적 추이2. 과거의 응시자격3. 과거의 종류4, 과거 시험 절차1. 과거제 성립과 법제적 추이우리나라의 최초 시험제도는 통일 신라시기인 788년(원성왕 4)… 더보기
Hot

인기 잡과방목 해제 - 잡과, 잡과방목, 중인

댓글 0 | 조회 2,914 | 추천 0
1. 잡과방목이란 2. 잡과방목 현황:「단회방목」과 「단과방목」 3. 잡과방목 수록 내용 4. 잡과제도 5. 잡과 선발인원 6. 중인연구와 잡과방목 1. 잡과방목이란 잡과는 전문직… 더보기
Hot

인기 사마방목(생원.진사시) 해제

댓글 0 | 조회 3,981 | 추천 0
1. 생원 진사시의 제도와 절차2. 사마방목 현황3. 사마방목의 수록내용4. 사마방목의 사료적 가치1. 생원 진사시의 제도와 절차 조선시대에 설행되었던 과거에는 문과, 무과, 잡과… 더보기
Hot

인기 음관 해제

댓글 0 | 조회 7,272 | 추천 0
1. 들어가는 말2. 음관의 개념3. 문음제과 음서제의 차이4. 음관 초입사자의 지위와 입사(入仕) 범위5. 조선후기 음관의 성장1. 들어가는 말 조선시대의 관료는 문·무과 출신의… 더보기
Hot

인기 문과방목 해제

댓글 0 | 조회 7,794 | 추천 0
1. 문과방목이란?2. 문과방목의 현황3. 문과방목의 수록내용4. 문과 시험 제도와 절차 1. 문과방목이란? 방목(榜目)은 시험 합격자의 명단이다. 문과 시험은 초시(初試)·회시(… 더보기
Hot

인기 무과방목 해제

댓글 0 | 조회 7,169 | 추천 0
1. 무과방목이란?2. 무과방목의 현황3. 무과방목의 수록내용4. 무과 시험 제도와 절차1. 무과방목이란? 1) 무과방목의 특성 방목은 과거시험의 합격자 명부로서 과거급제자에 대한… 더보기
Hot

인기 文科榜目(문과방목) 프로젝트 - 조선시대 文科 급제자 1만4600명 분석

댓글 0 | 조회 4,469 | 추천 0
『전쟁이 없었기 때문에 지배 엘리트는 공리공론에서 헤어나지 못했다』급제자 신상 카드 10萬장최근 들어 韓·美 두 老학자가 30여 년 걸쳐 연구한 조선조 500년간의 지배 엘리트 연… 더보기
Hot

인기 조선시대와 고려시대 과거 제도 차이점

댓글 0 | 조회 9,350 | 추천 0
우리나라 과거의 첫 시행은 고려 광종9년 958년 후주의 귀화인 쌍기의 권유로 실시되었습니다.이때부터 고려에서 관리가 관직에 등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이 과거시험에 합격하고, 관… 더보기
Now

현재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교육기관

댓글 0 | 조회 4,503 | 추천 0
과거시험, 2000:1의 경쟁률!과거시험을 준비해 온 李유생(유학을 공부하는 학생), 의연한 마음으로 공고를 바라보았습니다. 이번에도 응시자가 6만 명이 넘었습니다. 그 중 초시를… 더보기
Hot

인기 창원박씨 항렬도 昌原朴氏 行列圖- 절제공 철원공파, 병마사공 장단파, 진사공 고흥파

댓글 0 | 조회 7,903 | 추천 0
▣창원박씨 (諱)弘幹祖항렬도 昌原朴氏 行列圖 - 鐵原派※ 아래 항렬도 이미지를 클릭하여 폰에 저장이 가능 합니다.▣창원박씨(諱)弘信祖항렬도 昌原朴氏 行列圖 - 長端派※ 아래 항렬도… 더보기
Hot

인기 조선왕조 시호일람표 (諡號一覽表) (시호 가나다순)

댓글 0 | 조회 3,058 | 추천 0
시호(諡號) 그 기원은 확실치 않으나, 중국에서부터 시행된 듯 하며 요(堯)· 순(舜)·우(禹우) 등도 시호로 해석된다. 그러나 시법(諡法)의 제도가 정해진 것은 주(周)나라 때인… 더보기

Social Login

빠른 링크 Quick Links
사이트 현황 State 20180805
  • 현재 접속자 0 명
  • 오늘 방문자 623 명
  • 어제 방문자 1,441 명
  • 전체 방문자 910,267 명
  • 전체 게시물 941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