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및 고려시대 봉작,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관리자 0 4391 0 2019.11.19 15:32 1. 조선시대 봉작.품계 및 관직 2. 고려시대 관직과 품계 품계(品階)(현대의 직위)관직명(官職名)정1품(국무총리)太師(태사): 태부(太傅), 태보(太保),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태위(太尉), 사도(司徒), 사공(司空), 상주국(上柱國=훈위의 첫째)종1품(부총리)中書令(중서령): 후에 도첨의(都僉議) 또는 첨의정승(僉議政丞)등으로 고침. 판문하성사(判門下省事=중서령의 전신), 시중(侍中=후에 첨의 중찬(中?)으로 고침. 상서령(尙書令), 판상서성사(判尙書省事=재신(宰臣)이 겸임함). 감수국사(監修國事=사관의 으뜸 벼슬로서 시중이 겸임함), 판삼사사(判三司事), 주국(柱國=훈위의 둘째)정2품(장관,차관,대장,도지사)左右僕射(좌우복야): 중서시랑(中書侍郞=중서성에 한함), 태자빈객(太子賓客=태자궁에 빈객벼슬), 태학사(太學士=뒤에 대제학으로 하였음). 춘추관사(春秋館事=춘추관의 으뜸 벼슬로서 二품이상의 타관이 겸임함), 찬성사(贊成事), 판내시부사(判內侍府事)平章事(평장사): 참지정사(참知政事), 상서(尙書=뒤에 전서(典書) 또는 판서(判書)라 하였는데 정二품 또는 정三품으로 한때도 있음)종2품(차관보,중장)判中樞府事(판중추부사):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당문학(政堂文學), 문하평리(門下評理), 주부(主簿), 동지(同知)정3품(관리관,소장)副使(부사 추밀원 등의 관직): 상시(常侍), 지신사(知申事=뒤에 지주사(知奏事)로 고침, 중추원, 추밀원, 밀직사의 벼슬), 승선(承宣=뒤에 승지(承旨)로 고침), 감(監), 경(卿=감, 경은 각 관청의 장(長) 이므로 종三품도 있음), 어사대부(御史大夫=어사대의 으뜸 벼슬), 제거(提擧=보문각, 국자감의 벼슬임), 대사성(大司成=국자감의 장), 대언(代言=승선을 고침), 상호군(上護軍=상장군을 고침)종3품(이사관,국장,준장)祭酒(제주): 국자감의 벼슬로서 뒤에 성균관 사성(司成)임, 비서감(秘書監), 좌우사간(左右司諫)정4품(부이사관,대령)知貢擧(지공거): 학사로서 과거를 맡아 봄, 동지공거(同知貢擧)의 위(종三품 혹은 정四품임)종4품(중령)直學士(직학사): 간의(諫議=사간원의 간의대부), 봉상(奉常=봉상대부) (이상은 정四품임)太府少卿(태부소경): 국자사업(國子司業=국자감의 벼슬), 급사중(給事中=중서문하성의 벼슬)정5품(서기관,소령,군수)郞中(낭중): 중랑장(中郞將)종5품(부군수)侍御史(시어사): 비서승(秘書丞) 기거주(起居注)정6품(사무관,대위,면장)員外郞(원외랑): 좌우정언(左右正言), 습유(拾遺=정언의 전신), 보궐(補闕=중서문하성의 벼슬로서 뒤에 헌납(獻納으로 고침), 상의봉어(尙衣奉御=상의국의 벼슬)종6품內給事(내급사): 비서교랑(秘書校郞), 비서랑(秘書郞), 낭장(郞將)정7품(주사,계장,중위)祗候(지후)종7품주서(注書)정8품(주사보,소위,준위)녹사(錄事)종8품 정9품(서기,상사,중사)급사(給事)종9품(서기보,하사)장사랑(將仕郞) 고려시대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품 계(品 階)(현대의 직위) 관 직 명(官 職 名) 정 1 품(국무총리) 太師(태사): 태부(太傅), 태보(太保)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태위(太尉), 사도(司徒), 사공(司空) 상주국(上柱國=훈위의 첫째) 종 1 품(부총리) 中書令(중서령): 후에 도첨의(都僉議) 또는 첨의정승(僉議政丞)등으로 고침. 판문하성사(判門下省事=중서령의 전신), 시중(侍中=후에 첨의 중찬(中?)으로 고침. 상서령(尙書令), 판상서성사(判尙書省事=재신(宰臣)이 겸임함) 감수국사(監修國事=사관의 으뜸 벼슬로서 시중이 겸임함)판삼사사(判三司事), 주국(柱國=훈위의 둘째) 정 2 품(장관,차관, 본부장대장 ,도지사) 左右僕射(좌우복야): 중서시랑(中書侍郞=중서성에 한함), 태자빈객(太子賓客=태자궁에 빈객벼슬), 태학사(太學士=뒤에 대제학으로 하였음), 춘추관사(春秋館事=춘추 관의 으뜸 벼슬로서 二품이상의 타관이 겸임함), 찬성사(贊成事), 판 내시부사(判內侍府事) 平章事(평장사): 참지정사(참知政事), 상서(尙書=뒤에 전서(典書) 또는 판서(判書)라 하였는데 정二품 또는 정三품으로 한때도 있음) 종 2 품(차관보, 중장) 判中樞府事(판중추부사):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당문학(政堂文學), 문하평리(門下評理), 주부(主簿), 동지(同知) 정 3 품(관리관 ,소장) 副使(부사 추밀원 등의 관직): 상시(常侍), 지신사(知申事=뒤에 지주사(知奏事)로 고침, 중추원, 추밀원, 밀직사의 벼슬) 승선(承宣=뒤에 승지(承旨)로 고침 감(監), 경(卿=감, 경은 각 관청의 장(長) 이므로 종三품도 있음) 어사대부(御史大夫=어사대의 으뜸 벼슬), 제거(提擧=보문각, 국자감의 벼슬임 대사성(大司成=국자감의 장), 대언(代言=승선을 고침), 상호군(上護軍=상장군을 고침) 종 3 품(이사관,국장,준장) 祭酒(제주): 국자감의 벼슬로서 뒤에 성균관 사성(司成)임 비서감(秘書監), 좌우사간(左右司諫) 정 4 품(부이사관, 대령) 知貢擧(지공거): 학사로서 과거를 맡아 봄, 동지공거(同知貢擧)의 위 (종三품 혹은 정四품임) 종 4 품(중령) 直學士(직학사): 간의(諫議=사간원의 간의대부), 봉상(奉常=봉상대부) (이상은 정四품임) 太府少卿(태부소경): 국자사업(國子司業=국자감의 벼슬), 급사중(給事中=중서문하성의 벼슬) 정 5 품(서기관,소령,군수) 郞中(낭중): 중랑장(中郞將) 종 5 품(부군수) 侍御史(시어사) 비서승(秘書丞) 기거주(起居注) 정 6 품(사무관,대위,면장) 員外郞(원외랑): 좌우정언(左右正言), 습유(拾遺=정언의 전신), 보궐(補闕=중서문하성의 벼슬로서 뒤에 헌납(獻納으로 고침), 상의봉어(尙衣奉御=상의국의 벼슬) 종 6 품 內給事(내급사): 비서교랑(秘書校郞), 비서랑(秘書郞), 낭장(郞將) 정 7 품(주사,계장,중위) 祗候(지후) 종 7 품 주서(注書) 정 8 품(주사보,소위,준위) 녹사(錄事)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