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및 고려시대 봉작,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참고문헌
홈 > 뿌리알기 > 참고문헌
참고문헌

조선시대 및 고려시대 봉작,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관리자 0 4391 0

1. 조선시대 봉작.품계 및 관직


8634605c1ad2fd5c042d725307bca216_1711602674_8746.jpg
 


2. 고려시대 관직과 품계

 

 

품계(品階)

(현대의 직위)

관직명(官職名)

1

(국무총리)

太師(태사): 태부(太傅), 태보(太保),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태위(太尉), 사도(司徒), 사공(司空), 상주국(上柱國=훈위의 첫째)

1

(부총리)

中書令(중서령): 후에 도첨의(都僉議또는 첨의정승(僉議政丞)등으로 고침판문하성사(判門下省事=중서령의 전신), 시중(侍中=후에 첨의 중찬(?)으로 고침상서령(尙書令), 판상서성사(判尙書省事=재신(宰臣)이 겸임함). 감수국사(監修國事=사관의 으뜸 벼슬로서 시중이 겸임함), 판삼사사(判三司事), 주국(柱國=훈위의 둘째)

2

(장관,차관,대장,도지사)

左右僕射(좌우복야): 중서시랑(中書侍郞=중서성에 한함), 태자빈객(太子賓客=태자궁에 빈객벼슬), 태학사(太學士=뒤에 대제학으로 하였음). 춘추관사(春秋館事=춘추관의 으뜸 벼슬로서 품이상의 타관이 겸임함), 찬성사(贊成事), 판내시부사(判內侍府事)

平章事(평장사): 참지정사(知政事), 상서(尙書=뒤에 전서(典書또는 판서(判書)라 하였는데 정품 또는 정품으로 한때도 있음)

2

(차관보,중장)

判中樞府事(판중추부사):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당문학(政堂文學), 문하평리(門下評理), 주부(主簿), 동지(同知)

3

(관리관,소장)

副使(부사 추밀원 등의 관직): 상시(常侍), 지신사(知申事=뒤에 지주사(知奏事)로 고침중추원추밀원밀직사의 벼슬), 승선(承宣=뒤에 승지(承旨)로 고침), (), (=경은 각 관청의 장(이므로 종품도 있음), 어사대부(御史大夫=어사대의 으뜸 벼슬), 제거(提擧=보문각국자감의 벼슬임), 대사성(大司成=국자감의 장), 대언(代言=승선을 고침), 상호군(上護軍=상장군을 고침)

3

(이사관,국장,준장)

祭酒(제주): 국자감의 벼슬로서 뒤에 성균관 사성(司成)비서감(秘書監), 좌우사간(左右司諫)

4

(부이사관,대령)

知貢擧(지공거): 학사로서 과거를 맡아 봄동지공거(同知貢擧)의 위(품 혹은 정품임)

4

(중령)

直學士(직학사): 간의(諫議=사간원의 간의대부), 봉상(奉常=봉상대부) (이상은 정품임)

太府少卿(태부소경): 국자사업(國子司業=국자감의 벼슬), 급사중(給事中=중서문하성의 벼슬)

5

(서기관,소령,군수)

郞中(낭중): 중랑장(中郞將)

5

(부군수)

侍御史(시어사): 비서승(秘書丞기거주(起居注)

6

(사무관,대위,면장)

員外郞(원외랑): 좌우정언(左右正言), 습유(拾遺=정언의 전신), 보궐(補闕=중서문하성의 벼슬로서 뒤에 헌납(獻納으로 고침), 상의봉어(尙衣奉御=상의국의 벼슬)

6

內給事(내급사): 비서교랑(秘書校郞), 비서랑(秘書郞), 낭장(郞將)

7

(주사,계장,중위)

祗候(지후)

7

주서(注書)

8

(주사보,소위,준위)

녹사(錄事)

8

 

9

(서기,상사,중사)

급사(給事)

9

(서기보,하사)

장사랑(將仕郞)

 


 

고려시대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품 계(品 階)(현대의 직위) 


관 직 명(官 職 名) 


정 1 품(국무총리) 


太師(태사): 태부(太傅), 태보(太保)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태위(太尉), 사도(司徒), 사공(司空) 상주국(上柱國=훈위의 첫째) 


종 1 품(부총리) 

中書令(중서령): 후에 도첨의(都僉議) 또는 첨의정승(僉議政丞)등으로 고침. 판문하성사(判門下省事=중서령의 전신), 시중(侍中=후에 첨의 중찬(中?)으로 고침. 상서령(尙書令), 판상서성사(判尙書省事=재신(宰臣)이 겸임함) 감수국사(監修國事=사관의 으뜸 벼슬로서 시중이 겸임함)판삼사사(判三司事), 주국(柱國=훈위의 둘째) 


정 2 품(장관,차관, 본부장대장 ,도지사) 

左右僕射(좌우복야): 중서시랑(中書侍郞=중서성에 한함), 태자빈객(太子賓客=태자궁에 빈객벼슬), 태학사(太學士=뒤에 대제학으로 하였음), 춘추관사(春秋館事=춘추 관의 으뜸 벼슬로서 二품이상의 타관이 겸임함), 찬성사(贊成事), 판 내시부사(判內侍府事) 平章事(평장사): 참지정사(참知政事), 상서(尙書=뒤에 전서(典書) 또는 판서(判書)라 하였는데 정二품 또는 정三품으로 한때도 있음) 


종 2 품(차관보, 중장) 

判中樞府事(판중추부사):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당문학(政堂文學), 문하평리(門下評理), 주부(主簿), 동지(同知) 


정 3 품(관리관 ,소장) 

副使(부사 추밀원 등의 관직): 상시(常侍), 지신사(知申事=뒤에 지주사(知奏事)로 고침, 중추원, 추밀원, 밀직사의 벼슬) 승선(承宣=뒤에 승지(承旨)로 고침 감(監), 경(卿=감, 경은 각 관청의 장(長) 이므로 종三품도 있음) 어사대부(御史大夫=어사대의 으뜸 벼슬), 제거(提擧=보문각, 국자감의 벼슬임 대사성(大司成=국자감의 장), 대언(代言=승선을 고침), 상호군(上護軍=상장군을 고침) 


종 3 품(이사관,국장,준장) 

祭酒(제주): 국자감의 벼슬로서 뒤에 성균관 사성(司成)임 비서감(秘書監), 좌우사간(左右司諫) 


정 4 품(부이사관, 대령) 

知貢擧(지공거): 학사로서 과거를 맡아 봄, 동지공거(同知貢擧)의 위 (종三품 혹은 정四품임) 


종 4 품(중령) 

直學士(직학사): 간의(諫議=사간원의 간의대부), 봉상(奉常=봉상대부) (이상은 정四품임) 太府少卿(태부소경): 국자사업(國子司業=국자감의 벼슬), 급사중(給事中=중서문하성의 벼슬) 


정 5 품(서기관,소령,군수) 

郞中(낭중): 중랑장(中郞將) 


종 5 품(부군수) 

侍御史(시어사) 비서승(秘書丞) 기거주(起居注) 


정 6 품(사무관,대위,면장) 

員外郞(원외랑): 좌우정언(左右正言), 습유(拾遺=정언의 전신), 보궐(補闕=중서문하성의 벼슬로서 뒤에 헌납(獻納으로 고침), 상의봉어(尙衣奉御=상의국의 벼슬) 


종 6 품 

內給事(내급사): 비서교랑(秘書校郞), 비서랑(秘書郞), 낭장(郞將) 


정 7 품(주사,계장,중위) 

祗候(지후) 


종 7 품 

주서(注書) 


정 8 품(주사보,소위,준위) 

녹사(錄事) 



0 Comments
Now

현재 조선시대 및 고려시대 봉작,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댓글 0 | 조회 4,392 | 추천 0
1. 조선시대 봉작.품계 및 관직2. 고려시대 관직과 품계품계(品階)(현대의 직위)관직명(官職名)정1품(국무총리)太師(태사):태부(太傅),태보(太保),삼중대광(三重大匡),벽상삼한삼… 더보기
Hot

인기 묘소 구조와 명칭(용어)

댓글 0 | 조회 11,902 | 추천 0
묘 소(墓 所) 유해(遺骸)나 유골을 묻은 장소를 말하며, 묘(墓), 분묘(墳墓), 무덤이라고도 한다. 묘소는 시신(屍身)이나 유골(遺骨)을 처리하는 장소인 동시에 제사(祭祀)를 … 더보기
Hot

인기 고려시대 지방통치제도에 관한 고찰(2/2)

댓글 0 | 조회 3,972 | 추천 0
Ⅴ. 지방의 중간통치기구 1. 고려 지방 중간기구의 구조 고려의 지방제도는 三縣制를 기본으로 구성되었다. 전국에 약 500개의 州?府?郡?縣이 설치되어 지방행정구획으로 삼고 있었는… 더보기
Hot

인기 고려시대 지방통치제도에 관한 고찰 (1/2)

댓글 0 | 조회 4,702 | 추천 0
고려시대 지방통치제도에 관한 고찰 Ⅰ. 머릿말 - page 1 Ⅱ. 지방 제도의 기원과 성립 - page 1~3 1. 통일신라와의 연관성 2. 고려 지방제도의 또 다른 특성 Ⅲ. … 더보기
Hot

인기 고려의 과거제도

댓글 0 | 조회 8,740 | 추천 0
1. 과거제 성립과 법제적 추이2. 과거의 응시자격3. 과거의 종류4, 과거 시험 절차1. 과거제 성립과 법제적 추이우리나라의 최초 시험제도는 통일 신라시기인 788년(원성왕 4)… 더보기
Hot

인기 잡과방목 해제 - 잡과, 잡과방목, 중인

댓글 0 | 조회 2,914 | 추천 0
1. 잡과방목이란 2. 잡과방목 현황:「단회방목」과 「단과방목」 3. 잡과방목 수록 내용 4. 잡과제도 5. 잡과 선발인원 6. 중인연구와 잡과방목 1. 잡과방목이란 잡과는 전문직… 더보기
Hot

인기 사마방목(생원.진사시) 해제

댓글 0 | 조회 3,981 | 추천 0
1. 생원 진사시의 제도와 절차2. 사마방목 현황3. 사마방목의 수록내용4. 사마방목의 사료적 가치1. 생원 진사시의 제도와 절차 조선시대에 설행되었던 과거에는 문과, 무과, 잡과… 더보기
Hot

인기 음관 해제

댓글 0 | 조회 7,272 | 추천 0
1. 들어가는 말2. 음관의 개념3. 문음제과 음서제의 차이4. 음관 초입사자의 지위와 입사(入仕) 범위5. 조선후기 음관의 성장1. 들어가는 말 조선시대의 관료는 문·무과 출신의… 더보기
Hot

인기 문과방목 해제

댓글 0 | 조회 7,794 | 추천 0
1. 문과방목이란?2. 문과방목의 현황3. 문과방목의 수록내용4. 문과 시험 제도와 절차 1. 문과방목이란? 방목(榜目)은 시험 합격자의 명단이다. 문과 시험은 초시(初試)·회시(… 더보기
Hot

인기 무과방목 해제

댓글 0 | 조회 7,169 | 추천 0
1. 무과방목이란?2. 무과방목의 현황3. 무과방목의 수록내용4. 무과 시험 제도와 절차1. 무과방목이란? 1) 무과방목의 특성 방목은 과거시험의 합격자 명부로서 과거급제자에 대한… 더보기
Hot

인기 文科榜目(문과방목) 프로젝트 - 조선시대 文科 급제자 1만4600명 분석

댓글 0 | 조회 4,469 | 추천 0
『전쟁이 없었기 때문에 지배 엘리트는 공리공론에서 헤어나지 못했다』급제자 신상 카드 10萬장최근 들어 韓·美 두 老학자가 30여 년 걸쳐 연구한 조선조 500년간의 지배 엘리트 연… 더보기
Hot

인기 조선시대와 고려시대 과거 제도 차이점

댓글 0 | 조회 9,350 | 추천 0
우리나라 과거의 첫 시행은 고려 광종9년 958년 후주의 귀화인 쌍기의 권유로 실시되었습니다.이때부터 고려에서 관리가 관직에 등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이 과거시험에 합격하고, 관… 더보기
Hot

인기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교육기관

댓글 0 | 조회 4,503 | 추천 0
과거시험, 2000:1의 경쟁률!과거시험을 준비해 온 李유생(유학을 공부하는 학생), 의연한 마음으로 공고를 바라보았습니다. 이번에도 응시자가 6만 명이 넘었습니다. 그 중 초시를… 더보기
Hot

인기 창원박씨 항렬도 昌原朴氏 行列圖- 절제공 철원공파, 병마사공 장단파, 진사공 고흥파

댓글 0 | 조회 7,903 | 추천 0
▣창원박씨 (諱)弘幹祖항렬도 昌原朴氏 行列圖 - 鐵原派※ 아래 항렬도 이미지를 클릭하여 폰에 저장이 가능 합니다.▣창원박씨(諱)弘信祖항렬도 昌原朴氏 行列圖 - 長端派※ 아래 항렬도… 더보기
Hot

인기 조선왕조 시호일람표 (諡號一覽表) (시호 가나다순)

댓글 0 | 조회 3,058 | 추천 0
시호(諡號) 그 기원은 확실치 않으나, 중국에서부터 시행된 듯 하며 요(堯)· 순(舜)·우(禹우) 등도 시호로 해석된다. 그러나 시법(諡法)의 제도가 정해진 것은 주(周)나라 때인… 더보기

Social Login

빠른 링크 Quick Links
사이트 현황 State 20180805
  • 현재 접속자 0 명
  • 오늘 방문자 623 명
  • 어제 방문자 1,441 명
  • 전체 방문자 910,267 명
  • 전체 게시물 941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