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功臣)의 의미와 조선시대 공신 종류

참고문헌
홈 > 뿌리알기 > 참고문헌
참고문헌

공신(功臣)의 의미와 조선시대 공신 종류

관리자 0 3300 0

공신(功臣)의 의미와 조선시대 공신 종류


공신(功臣)은 왕조의 창업, 새로운 왕의 즉위, 전란의 평정 등 국가나 왕실을 위하여 특별한 공을 세웠다고 인정된 사람에게 주는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을 말한다.

훈공(勳功)을 나타내는 명호(名號)를 주며, 등급을 나누어 포상(褒賞) 하였다. 

이는 중국의 제도를 모방한 것으로서 신라시대에 이미 녹공(錄功)이 있었다고 한다.

공신호(功臣號)를 설정했는지 여부 등 자세한 기록은 전하지 않아 내용을 잘 알 수 없다.


문헌상 구체적으로 신제도가 시행된 것은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부터이다.

고려 건국 직후인 918년 왕건은 개국에 공이 큰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등 4인을 1등 공신으로 삼고, 3등 공신에는 무려 2,000여 명을 책록하여 상(賞)을 주었다.

940년(태조 23년)에는 신흥사(神興寺)를 중수(重修)하고 공신당(功臣堂 = 功臣閣)을 설치하고

1등 및 2등 개국공신의 화상(畵像)을 동서 벽(璧)에 그려 개국벽상공신(開國璧上功臣)이라 부르고, 해마다 복을 비는 대회를 열었다.

1019년(현종 10년) 거란 격퇴 이후 강감찬 등 5명에게 공신 칭호를 주면서 토지와 노비를 내려 준 이래 공신호 책록, 공신전 지급, 노비 사급이 정례화되었다.

고려 초에는 녹권(錄券)을 주어 공신증명(功臣證明)으로 하였으나, 말기의 중흥공신(中興功臣)에게는 녹권 이외에 따로 교서(敎書)를 주었다.


조선시대는 교서와 녹권을 병용(倂用)하였으며, 몇 대에 걸쳐 공신을 시상(施賞)하여 모두 28종에 달하였다.  

그런데 초기의 개국(開國), 정사(定社), 좌명(佐命) 3공신의 정공신(正功臣)에 합하여 교서와 녹권을 아울러 주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게는 녹권만 주었다. 그러나 정난공신(靖難功臣) 이후에는 정공신에게는 교서만 주고 녹권은 원종공신에게만 주었다.


왕은 특히 공신과 회맹(會盟)하였는데, 여기서 공신들은 나라에 충성을 다할 것과 자손 대대로 서로 친목할 것을 맹세하였다.

공신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관청은 초기의 공신도감(功臣都監)이 1434년 (세종 16년) 충훈사(忠勳司)로 개칭되고, 1454년(단종 2년)에 충훈부(忠勳府)로 승격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이 관부에서는공신을 정할 일이 있으면 임시로 공신도감을 설치하고 의정부와 삼사(홍문관,사헌부, 사간원)에서 대상자의 공훈을 심사하여 1 ~ 3등으로 나누어 공신 칭호를 주되, 1등 공신에게는 10자(字), 2등 공신에게는 6 ~ 8자, 3등 공신에게는 2 ~ 4자의 훈호(勳號)를 쓰게 했다.

공신은 국가로부터 토지와 녹봉을 받는 외에 별사전(別賜田),공신전(功臣田)까지 받는 대지주 양반 계층이었다. 

공신은 자신은 물론 자손까지도 많은 특권을 누렸고, 공신전 이외에도 공신의 봉작(封爵)을 세습시켰다.


공신의 봉작은 공신호를 받은 자로부터 4세(世)까지는 승습(承襲)되어 공신의 대우를 받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조상의 공신호를 물려 받은 자, 즉 공신승습자(功臣承襲者)와 처음 공신호를 받은 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공훈을 세운 당사자인 공신을 친공신(親功臣)이라고 한다.

친공신으로 신사자(身死者)에게는 직위가 낮은 경우 정2품직을 추증하고 시호도 주게 되었다.

당상관 이상의 친공신이 자식이 없을 때에는 생(甥), 질(姪), 여(女), 서(壻) 중에서 1명을 관직에 서용하고, 직자와 생질녀서 등이 있더라도 친공신이 그의 형제를 서용해 줄 것을 청원하면 이를 들어주었다.

친공신이 봉군(封君)된 경우 '군(君)'앞에 '부원(府院)'을 붙여서 '○○부원군'이라고 불렀으며, 여러 가지 특혜를 부여했다.


위에서 살핀 공신은 일반적으로 훈봉공신, 그 중에서도 친공신을 가리킨다. 공신에는 이러한 훈봉공신과 구별되는 배향공신(配享功臣)이 있다.

배향공신은 임금이 죽어서 위패를 종묘에 모신 뒤 생전에 그 임금에게 특별한 공로가 있는 신하의 신주를 같이 모셨는데, 그렇게 임금의 신주를 모신 종묘에 배향되는 공신을 말한다.

배향공신에게는 여러 특전이 부여되어, 당대와 후손의 큰 영예가 함께 하며, 후손이 죄를 지은 경우 그것을 감해주기도 했다.   

배향공신에 대한 예도 고려시대에서 시작되었다.


[ 조선시대 공신 종류 ]

649c04e77bf370faab73486413c3d1e2_1541659502_668.PNG
 


0 Comments
Hot

인기 조선왕조 시호일람표 (諡號一覽表) 문충~양정~희효

댓글 0 | 조회 4,323 | 추천 0
조선왕조 시호일람표 (諡號一覽表) 2/2
Hot

인기 고려 조선시대 관직 해설

댓글 0 | 조회 5,186 | 추천 0
Hot

인기 비석, 묘지 관련 용어

댓글 0 | 조회 6,534 | 추천 0
비석 관련 용어 설명 용 어 설 명 묘비 (墓碑) 무덤 앞에 세우는 비석으로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신도비(神道碑) 종2품 이상 벼슬아치의 무덤 앞이나 무덤으로 가는 길목에 세워놓는… 더보기
Now

현재 공신(功臣)의 의미와 조선시대 공신 종류

댓글 0 | 조회 3,301 | 추천 0
공신(功臣)의 의미와 조선시대 공신 종류공신(功臣)은 왕조의 창업, 새로운 왕의 즉위, 전란의 평정 등 국가나 왕실을 위하여 특별한 공을 세웠다고 인정된 사람에게 주는 칭호 또는 … 더보기
Hot

인기 조선시대 흉배(胸背)와 보(補)

댓글 0 | 조회 3,949 | 추천 0
흉배(胸背)와 보(補)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의 신분(身分)과 지위(地位)를 나타내기 위해 관복(官服)에 가슴과 등에 부착하기 위해 수놓은 천을 말한다.왕과 왕세자의 곤룡포에는 용무늬를… 더보기
Hot

인기 홍간(弘幹)조의 조담(趙聃) 인맥과 숨겨진 사실

댓글 0 | 조회 3,276 | 추천 0
단지 실록기록을 따를 때에 우리 령(齡) 할아버지는 손자,손녀로 4남5녀를 낳아서 잘 기르셨습니다.그중 첫째 아들이신 포천파조 홍간(弘幹)할아버지의 숨겨진 사실을 고증 합니다.주지… 더보기
Hot

인기 박경, 박사문, 박동상 과거시험 등제 기록

댓글 0 | 조회 2,861 | 추천 0
종일 인터넷 뒤지다 발견한 내용 입니다.조선시대를 통털어 문과에 등제한 분은성종10년 별시에경(璟) 을과 1위로 등제 하셨고,(장원 급제는 鄭光世)사문(師文) 병과 26위로 등제 … 더보기
Hot

인기 경(璟)의 문과 방목 내용

댓글 0 | 조회 5,902 | 추천 0
조선왕조의 문과 과거시험에는 기본적으로(1)본관(2)거주지(3)전력품계(4)관직(5)부(父)(6)조부(祖父)(7)증조부(曾祖父)(8)외조부(外祖父)(9)처부(妻父)를 반드시 답안지… 더보기
Hot

인기 한국학연구원에 보정을 요구한 내용과 답변, 그리고 수정내용

댓글 0 | 조회 2,368 | 추천 0
일전 경(璟)祖의 문과방목을 찾고내용의 오기를 수정,보완을 요구한 내용과 답변 입니다.NO. 8493[수정요청] 오기 바로 잡아 주십시요. 신청자 이름:박 갑수 등록일:2012-0… 더보기
Hot

인기 무과방목 정, 정립, 률, 후익, 동상

댓글 0 | 조회 3,581 | 추천 0
이번 자료 조사 과정에 나타나는 우리 선조님 들 이십니다.시대의 아픔으로만 보기에는 가슴이 아려 옵니다.만시지탄의 심정이나 선조님들의 발자취를 못난 후손들에게 나타내게 됨은 그나마… 더보기
Hot

인기 휘을재의 장남 박견기(朴堅基)에 대한 사료 중 연대 표기

댓글 0 | 조회 2,327 | 추천 0
박견기(朴堅基)밀양박씨 12분 중조중 우리 직계이신 을재의 3 아들중 첫째로 밀양박씨 삼사좌윤공파 고성파의 중조 되시는분 입니다.즉,을재 ->1)견기-----고성파 ->… 더보기
Hot

인기 禑王3 진사시 2등 박개(開)

댓글 0 | 조회 5,667 | 추천 0
참으로 힘들고 풀기 어려운 문제들 입니다.더 집중적인 발굴이 필요 합니다만,우선 지면 할애 합니다.이분은 누구신가?명 자 호  시험등위 전력관직시험관開    禑王3진사시2등13(1… 더보기
Hot

인기 1828년 간행한 무자보 해부

댓글 0 | 조회 3,174 | 추천 0
고흥문중에서 1828년 간행 한 무자보를 해부 해 봅니다.시조 朴 奇麗高宗 ? 定21年甲午 以衛尉同正 知門下侍中 兼 東北道安廉使 配 崔氏麗高宗은 1214년-1259년 재위함 고종년… 더보기
Hot

인기 홍지(弘智)祖의 배후와 공신(恭信) 휘(諱)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892 | 추천 0
고흥의 홍지(弘智)祖 는안동권씨성화보를 발간 하는 1476년 즈음에는,부친이신 령(齡) 졸(卒)후 42년 뒤 입니다.(1476-1434=42)혹,홍지(弘智)祖 는 부친 졸 년에 출… 더보기
Hot

인기 령(齡)祖의 先配, 後配의 가계도

댓글 0 | 조회 3,544 | 추천 0
2013.01.09. 22:38*) 해석//도표중 상단 부문이 선배(先配)이신, 서원(청주)이씨 관계도 이며, 권씨(權氏)家 에서도권보(權溥)가 큰 집이고, 아래 권중달(權仲達)이… 더보기

Social Login

빠른 링크 Quick Links
사이트 현황 State 20180805
  • 현재 접속자 0 명
  • 오늘 방문자 628 명
  • 어제 방문자 1,441 명
  • 전체 방문자 910,272 명
  • 전체 게시물 941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