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보는 법

참고문헌
홈 > 뿌리알기 > 참고문헌
참고문헌

족보 보는 법

관리자 0 9059 0

족보 보는 법 


족보(族譜)를 보는 방법을 몰라 자녀들에게 집안의 내력을 설명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은 젊은세대들이 족보(族譜)에 관심이 없는 것도 있겠으나, 정작 낡은 유물이나 봉건사상 쯤으로 도외시 하는 한자(漢字)와 고어(古語) 등 교육의 부재에도 문제가 있다 할 것이다.


조상의 얼이 담겨있는 귀중한 보첩(譜牒)을 경건한 마음으로 모셔야 하고, 

소중히 간직하기 위해서는 족보 편수하는 방법이나 구성, 체재 등 열람하는 방법을 숙지 하여야 한다.


세와 대의 구별(예) 및 호칭


237376781_dMctn1US_05785f081447a5f8a4672464bc05f2012a9096c3.jpg

 

필수요소 


① 먼저 '자기(나)'가 어느 파(派)에 속해 있는지 알아야 한다. 

파를 알지 못할 경우에는 조상이 어느지역에서 살았고, 그 지방에 어떤 파(派)가 살았던가를 확인해야 한다.

그래도 파(派)를 모를 때는 부득히 씨족 전체가 수록되어 있는 대동보(大同譜)를 일일이 찾아 확인하는 방법 이외에는 다른 도리가 없다. 


예) 파(派)의 명칭은 흔히 파조(派祖)의 관작명이나 시호 또는 아호(雅號)와 세거지명 등을 따서 붙인다.
족보(族譜)에서 파(派)를 찾으려면 계보도 [系譜圖(손록孫錄)] 외에 세계도(世系圖)를 보아야 한다.
세계도에는 대략 분파 계도를 그려 놓고 무슨 파(派)는 몇 권(卷) 몇 면(面)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② 시조(始祖)로부터 몇 세손(世孫)인지 알아야 한다.

족보(族譜)는 횡으로 단을 갈라서 같은 세대(generation)에 속하는 혈손을 같은 단에 횡으로 배열함으로써 자기 세(世)의 단만 보면 된다. 


③ 항렬자(行列字)를 알아야 하고, 족보에 기록된 이름(譜名)을 알아야 한다. 

예로부터 집에서 부르는 이름이나 호적에 올린 이름에는 항렬자를 넣지 않았더라도 족보에 실을 때는 반드시 항렬자를 넣은 이름을 기재했으므로 이를 알아야 한다.


④ 족보를 보면 序文(서문=머리말)이 나오는데, 이는 자랑스러운 가문과 조상의 숭고한 정신을 고취 시키고 족보 간행의 중요성과 당위성을 강조하는 글이며, 족보의 이름은 OO譜(예를들어 庚午譜=경오보)라하여 족보 간행년도의 간지를 따 족보의 명칭으로 삼는다. 


⑤ 본문에는 始祖(시조)와 鼻祖(비조)로부터 시작하여 가로 1칸을 같은 代(대)로 하여 보통 6칸으로 되어 있는데, 기록내용을 보면 처음에 이름자가 나오고 字(자)와 號(호)가 있으면 기록한다. 이어서 출생과 사망연도가 표시된다. 20세 이전에 사망하면 夭折(요절)이란 뜻의 早夭(조요)라 표시하고 70세가 되기전에 사망하면 享年(향년), 70세가 넘어 사망하면 壽(수)라 하고 旁書欄(방서란)에 기록한다. 


⑥ 諡號(시호=사후 나라에서 내린 이름)와 官職(관직)이 있으면 기록되고 妃匹(비필)이라 하여 배우자를 표시하는데 보통 配(배)자 만을 기록하며 배우자의 본관 성씨와 그 아버지의 이름자와 관직이 기록된다. 


⑦ 또한 묘소가 기록되는데 소재지와 方位(방위) 그리고 石物(석물) 등을 표시하며, 합장 여부 등도 기록하는 것이 보통이다. 


⑧ 더러 出后·出繼(출후·출계)라 하는 것은 다른 집으로 養子(양자)를 간 경우이고, 양자로 들어온 사람은 繼子(계자) 또는 系子(계자)라 기록되며, 서얼(庶蘖)로 入嫡(입적)되었을 경우에는 承嫡(승적)이라고 표시한다. 


⑨ 옛날에는 女息(여식,딸)의 이름은 족보에 기록하지 않고 대신 지아비의 성명을 원용하고 지아비의 본관 성씨와 자식들의 이름만 족보에 올랐으나, 요즘들어 딸의 이름과 생년월일, 지아비, 자식들까지 올리는 족보가 많아졌다. 



족보 보기 예시

931a9356ebc42ce6977a060ea2667d6c_1532871258_5703.jpg

 실제 우리 가정에 있는 인쇄물 족보를 펴보자.  


①족보를 펴면 오른쪽에 세로로 표시되어 있는 게 시조(始祖)로부터의 세(世)를 나타낸다. 같은 단의 횡으로는 세가 같은 혈손들이며 오른쪽으로부터 장남, 차남 등의 순서로 기록된다. 

②"자 희인(子 希仁)"을 기두(起頭)라 한다. 

오른쪽의 작은 글씨 

③은 "희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비롯한 윗대를 표시 한 것이다.   

④(見上十三)는 윗대를 보려면 앞의 13쪽을 보라는 뜻이다. 이 경우에는 같은 책의 13쪽을 말하며 '見三之十三'이라면 3권의 13쪽을 보라는 뜻이 된다.
아래의 ⑩을 보면 다른 권의 쪽수를 나타내고 있다.
⑤와 같이 이름 아래 작은 글씨는 아명(兒名), 자 또는 호(號)를 표기한다. 여기서는 자는 '구숙'이며 호는 '강호'라고 표기되어 있다.
⑥의 '계자(系子)'는 그 윗대인 19세 [경(鏡)]이 아들이 없어서 '감(堪)'을 양자(養子)로 맞았음을 나타낸다.
이같이 양자를 세운 경우에는 ⑦처럼 생부(生父)를 표기해 주는데, 여기에서 생부는 '령(鈴)'이라고 되어 있다. 그림에서는 생부인 '령(鈴)'과 그 아들인 '감(堪)'의 관계가 나타나 있지 않은데 이것은 세(世)에 따라 다른 쪽을 찾아보면 나타나 있을 것이다.
⑧에서 그 관계를 찾을 수 있다. 즉, 20세손 '감(堪)'은 네 아들을 두었는데 첫째 아들[장{樟)]은 '감(堪)'의 계를 잇고, 둘째 아들[석(晳)]은 양자로 보냈다. 이를 출계(出系)라고 하며 '출후(出后)'라고 써서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⑨를 보면, '감(堪)'의 세째 아들 '순(栒)'은 이후로 아들이 없었으며 또한 양자도 들이지 않았다. 이른바 손(孫)이 끊긴 것으로 이것을 '무후(无后)'라고 표기한 것이다.


 



0 Comments
Hot

인기 임진왜란 당시 고흥지역 수군 활약 담은 서적 - 임진왜란과 흥양수군

댓글 0 | 조회 2,310 | 추천 0
'임진왜란과 흥양수군' 책자./뉴스1 © News1 지정운 기자전남 고흥군은 임진왜란 당시 고흥지역 수군의 활약상을 담은 '임진왜란과 흥양수군' 책자를 출간한다고 27일 밝혔다.'… 더보기
Hot

인기 고흥, 이순신 수군 부활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3,551 | 추천 0
육군서 수군으로 옮긴 충무공, 고흥 도화면서 18개월간 근무郡, 지역주민에 명예관직 부여 “선조업적 계승해 자긍심 키울것”전남 고흥군 도화면 발포리에 있는 발포 해안성(진성) 내에… 더보기
Hot

인기 부산 안락동 충렬사(忠烈祠)

댓글 0 | 조회 2,420 | 추천 0
◈충렬사[忠烈祠]【밀양】【울산】【죽산】▶이곳은 우리 민족의 역사상 불굴의 호국정신을 장렬히 발휘한 성열들의 영령을 모신곳으로 원래는 선조[宣祖]38 [1605]년에 동래 읍성 남문… 더보기
Hot

인기 인물사 연표(2/2) - 유럽.아메리카, 아시아.아프리카, 한국

댓글 0 | 조회 3,121 | 추천 0
(2/2) 1781년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발표 1781년 김홍도 어진화사로 정조 초상화작업 1789년 조지 워싱턴 미국 초대 대통령 당선 1789년 루이 16세 프랑스 … 더보기
Hot

인기 인물사 연표(1/2) - 유럽.아메리카, 아시아.아프리카, 한국

댓글 0 | 조회 3,074 | 추천 0
(1/2) BC 2333년 단군 단군조선 개국 BC 1790년 함무라비 함무라비법전 편찬 BC 1100년 주의 무왕 주나라 건국 BC 800년 호메로스 [일리아드] [오딧세이] 집… 더보기
Hot

인기 창원박씨 병마사공 장단파 종중 게시판의 글

댓글 0 | 조회 4,936 | 추천 0
[편집자 주] 본 자료는 다음카페 "창원박씨 병마사공 장단파 종중"에 있는 글을 옮긴 자료 입니다.감개무량합니다.2011년 4월 1일 , 병마사공 장단파 대표회장 박종우님께서 보내… 더보기
Hot

인기 유인 창원박씨 효열기적비 제막식 - 청주한씨 양절공파

댓글 0 | 조회 4,452 | 추천 0
유인 창원박씨 효열기적비 제막식(한중섭, 한창섭 일가 조모님)별량면 금치리 과동 청주한씨 양절공파 행사유인 창원박씨 효열기적비(儒人 昌原朴氏 孝烈紀績碑)주요 내용청주한씨 양절공파 … 더보기
Hot

인기 서원(書院)의 기원과 기능

댓글 0 | 조회 3,589 | 추천 0
※ 서원의 기원우리나라에 서원이 설립된 것은 1542년이었다. 당시 풍기군수였던 주세붕 선생은 안향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안향 선생이 학문을 하던 곳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을 설립… 더보기
Hot

인기 박씨 시조왕 실존인물 뒷받침 유적

댓글 0 | 조회 4,708 | 추천 0
시조왕 실존인물 뒷받침 유적"박혁거세는 실존인물" 신라초기 유적 발견 경주시 탑동 나정서[조선일보 유석재 기자]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실존 인물이라고 쓴 ‘삼국사기’의 … 더보기
Now

현재 족보 보는 법

댓글 0 | 조회 9,060 | 추천 0
족보 보는 법족보(族譜)를 보는 방법을 몰라 자녀들에게 집안의 내력을 설명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그것은 젊은세대들이 족보(族譜)에 관심이 없는 것도 있겠으나, 정작 낡은 유물이나 … 더보기
Hot

인기 문화재 용어

댓글 0 | 조회 5,642 | 추천 0
문화재 용어● 간기(刊記)간행물의 간행일시 . 간행처 . 간행자 . 편저자 등 간행에 관계 되는 사항을 적은 것● 간찰(簡札)편지의 다른 말● 갑주(甲胄)갑옷과 투구● 고분군(古墳… 더보기
Hot

인기 유적의 명칭(名稱)

댓글 0 | 조회 7,014 | 추천 0
유적의 명칭(名稱)• 전(殿)궁궐, 향교, 절등과 같이 여러채의 건물이 있을 때 그 중에서 가장큰 집을 일컫는 말이다. 예) 대성전(大成殿), 대웅전(大雄殿)• 묘(廟)세상에 공적… 더보기
Hot

인기 신라 시조 박혁거세가 눈물 흘린다는 비석

댓글 0 | 조회 2,725 | 추천 0
입력 : 2010.04.03 04:14[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불던 날, 숭덕전 안에 있는 세 개의 비석에 물이 흘러내렸다. 이 물의 정체를 두고 사람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정말 비… 더보기
Hot

인기 우리나라와 외국의 족보 현황

댓글 0 | 조회 2,487 | 추천 0
1) 우리나라의 족보현황• 우리나라의 족보는 세계에서 부러워 할 정도로 가장 발달된 족보로 정평이 나 있으며, 보학의 宗主國(종주국)으로 꼽힌다.따라서 우리나라보다 외국에서 더 많… 더보기
Hot

인기 족보(族譜)의 편찬 절차

댓글 0 | 조회 8,246 | 추천 0
⊙ 족보(族譜)의 편찬 방법족보(族譜)를 새로 수보(修補) 할 때는 문중 (門中)회의를 소집해 보학(譜學)을 잘 알고 있거나 덕망이 있는 분으로 족보(族譜) 편찬 위원회를 구성하여… 더보기

Social Login

빠른 링크 Quick Links
사이트 현황 State 20180805
  • 현재 접속자 0 명
  • 오늘 방문자 628 명
  • 어제 방문자 1,441 명
  • 전체 방문자 910,272 명
  • 전체 게시물 941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