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사 연표(1/2) - 유럽.아메리카, 아시아.아프리카, 한국

참고문헌
홈 > 뿌리알기 >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물사 연표(1/2) - 유럽.아메리카, 아시아.아프리카, 한국

관리자 0 3073 0

인물사 연표(1/2)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한국



BC 2333년

단군 단군조선 개국


BC 1790년

함무라비 함무라비법전 편찬



BC 1100년

주의 무왕 주나라 건국


BC 800년

호메로스 [일리아드] [오딧세이] 집필




BC 563년

석가모니 탄생



BC 499년

공자 노나라 최고재판관에 오름


BC 478년

페리클레스 델로스 동맹결성

BC 492년

다리우스1세 페르시아 전쟁으로 오리엔트 통일


BC 399년

소크라테스 독배마시고 죽음

BC 350년

맹자 제자백가의 시대


BC 335년

아리스토텔레스 아테네 리케이온 설립



BC 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시작

BC 317년

찬드라굽타 인도 최초 제국, 마우리아왕조 건국



BC 261년

아소카 마우리아 왕조, 불교 공식 종교


BC 218년

한니발 제 2차 포에니 전쟁

BC 221년

진시황제 진나라 중국 최초 통일, 만리장성 축조



BC 202년

한고조 유방 한나라 중국 재통일

BC 194년

위만 고조선 왕 즉위


BC 141년

한무제 유철 한나라 왕 즉위, 영토 확장



BC 138년

장건 비단길 개척



BC 97년

사마천 [사기] 완성


BC 5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갈리아 정복


BC 57년

박혁거세 신라 건국

BC 27년

아우구스투스 로마 제정 수립

BC 31년

클레오파트라 7세 악티움 해전 패전

BC 37년

동명성왕 고주몽 고구려 건국

BC 4년

예수 탄생


BC 18년

소서노 온조와 함께 백제 건국


144년

카니슈카 인도 쿠샨왕조, 간다라 미술 최성기

42년

김수로 금관가야 건국


227년

제갈량 위나라 정벌을 위한 출사표

203년

을파소 고구려 명재상 을파소의 죽음


260년

샤푸르1세 에데사 전투에서 로마 격파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 밀라노 칙령으로 크리스트교 공인

320년

찬드라굽타 1세 인도 굽타왕조 성립

396년

광개토대왕 고구려 19대 왕, 백제공격 58성 차지

481년

클로비스 1세 프랑크왕국 수립


527년

이차돈 불교를 위한 순교

534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 [로마법전] 편찬

589년

수문제 양견 수나라 중국 통일

562년

진흥왕 신라 대가야 정벌


610년

무함마드 이슬람교 창시

612년

을지문덕 고구려 살수대첩


628년

당태종 당나라 중국 대통일

632년

선덕여왕 신라 첨성대 설립



642년

연개소문 정변을 일으키고 권력장악



654년

김춘추 태종무열왕 즉위



660년

김유신 백제 사비성 함락



660년

의자왕 백제 멸망



661년

원효/의상 당나라 유학



663년

흑치상지 당나라의 장수가 됨



676년

문무왕 신라 삼국통일


690년

측천무후 최초 여황제 즉위

698년

대조영 발해 건국


756년

양귀비 안사의 난

727년

혜초 [왕오천축국전] 저술

800년

샤를마뉴 서로마 황제의 부활


828년

장보고 청해진 설치



894년

최치원 진성여왕에게 시무 10조 올림



900년

견훤 후백제 건국



901년

궁예 후고구려 건국



918년

왕건 고려 건국

962년

오토 1세 신성로마제국 수립

979년

송태조 조광윤 송나라 중국 통일

958년

광종 과거제도 시행



982년

최승로 시무 28조 건의



993년

서희 강동 6주 확보



997년

천추태후 목종 즉위, 천추태후 집권


1037년

토그릴 베그 셀주크투르크 건국

1018년

강감찬 귀주대첩

1077년

그레고리오 7세 카노사의 굴욕

1063년

왕안석 삼사조례사 설치, 개혁시작

1055년

최충 구재학당 설립



1126년

이자겸 이자겸의 난

1150년

힐데가르트 폰 빙엔 아이빙엔에 대수녀원 축성


1135년

묘청 서경 천도 운동

1152년

프리드리히 1세 신성로마제국 황제 즉위


1145년

김부식 [삼국사기] 완성


1175년

주희 [근사록] 편찬

1170년

정중부 무신정변

1189년

리처드 1세 제 3차 십자군 전쟁

1187년

살라딘 십자군전쟁에서 예루살렘 탈환

1196년

최충헌 고려 최씨 무신정권의 시작

1215년

존왕 마그나카르타 승인

1206년

칭기즈칸 몽골제국 수립

1198년

만적 만적의 난

1295년

에드워드 1세 모범의회 성립

1271년

원세조 쿠빌라이 원제국 수립

1274년

충렬왕 여.몽 연합군의 일본정벌

1299년

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발간

1299년

오스만 1세 오스만제국 수립

1281년

일연 [삼국유사] 편찬

1304년

단테 알리기에리 [신곡] 집필 시작

1325년

이븐 바투타 이슬람 메카 성지순례

1371년

신돈 역모죄로 처형

1309년

필리프 4세 아비뇽 유수

1368년

명태조 주원장 중국 명나라 수립

1374년

공민왕 시해


1369년

티무르 티무르제국 수립

1376년

최영 홍산에서 왜구 토벌



1392년

정몽주 선죽교에서 피살



1392년

이성계 조선 건국



1394년

정도전 [조선경국전] 저술

1429년

잔 다르크 백년전쟁 후기 영국군 격파

1405년

정화 남해원정 시작

1400년

태종 이방원 조선 태종, 2차 왕자의 난

1433년

코시모 메디치 이탈리아 르네상스 발전에 공헌

1410년

영락제 [사서대전] [오경대전] 편찬

1434년

장영실 자격루, 앙부일구 제작

1450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금속활자 인쇄술 발명


1434년

김종서 육진개척 시작

1479년

이사벨 1세 에스파냐 통일


1443년

세종 훈민정음 창제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서인도제도 도착


1452년

황희 명재상 황희의 죽음

1498년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완성

1453년

메메드 2세 오스만제국, 콘스탄티노플 점령

1453년

세조 계유정난, 정권 장악

1511년

에라스뮈스 [우신예찬] 집필


1471년

한명회 좌리공신 1등에 책록됨

1513년

니콜로 마키아벨리 [군주론] 출간

1529년

술레이만 1세 오스만제국, 신성로마제국과 평화협정

1519년

조광조 현량과 시행, 기묘사화로 처형

1516년

미켈란젤로 천정벽화 천지창조 완성


1536년

신사임당 율곡 이이 출생

1517년

마르틴 루터 종교개혁 시작


15??년

황진이 송도 삼절로 불림

1519년

페르디난드 마젤란 세계일주 항해



1534년

헨리8세 영국국교회 성립


1545년

문정왕후 명종 수렴청정

1543년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발표


1559년

임꺽정 임꺽정의 난

1562년

카트린 드 메디치 프랑스 위그노 전쟁 발발

1565년

악바르 대제 인도 무굴제국 영토확장

1568년

이황 [성학십도] 저술



1575년

이이 [성학집요] 저술

1582년

마테오 리치 동서 문화교류에 기여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 전국 통일

1585년

정철 [관동별곡] 지음



1589년

허난설헌 27세로 요절

1598년

앙리 4세 낭트칙령으로 신교 자유허용


1592년

선조 임진왜란 발발



1598년

이순신 노량해전에서 전사

1600년

엘리자베스 1세 동인도회사 설립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 에도 막부 수립

1608년

광해군 대동법 시행

1601년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발표


1610년

허준 [동의보감] 완성

1605년

미겔 데 세르반테스 [돈 키호테] 출간

1616년

청태조 누르하치 후금 건국

1612년

허균 [홍길동전] 저술



1623년

인조 인조반정



1625년

소현세자 세자 책봉

1637년

르네 데카르트 [방법서설] 출판

1632년

샤 자한 인도 무굴제국, 타지마할 건조 시작


1640년

찰스 1세 청교도 혁명



1643년

루이 14세 절대왕정 전성기



1651년

올리버 크롬웰 항해조례 발표


1651년

김육 충청도 지역 대동법 시행

1665년

아이작 뉴턴 만유인력 발견



1688년

제임스 2세 명예혁명, 입헌군주제 성립

1689년

강희제 네르친스크 조약

1689년

송시열 사약 받고 죽음

1709년

표트르 1세 러시아 로마노프왕조, 북방전쟁


1725년

영조 탕평책 실시

1740년

마리아 테레지아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


1750년

박문수 균역법 실시

1751년

볼테르 다른 대표작과 [루이 14세 시대] 등 역사서 출간


1760년

이익 [성호사설] 저술 완성

1762년

예카테리나 2세 남편을 폐위시키고 즉위



1769년

제임스 와트 증기기관 발명, 산업혁명의 발단


1773년

홍대용 [의산문답]에서 지전설 주장

1774년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출간



1776년

애덤 스미스 [국부론] 출간



1776년

토머스 제퍼슨 미국, 독립선언


1776년

정조 규장각 설립



1780년

박지원 중국 기행문집 [열하일기] 집필

1781년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발표


1781년

김홍도 어진화사로 정조 초상화작업

1789년

조지 워싱턴 미국 초대 대통령 당선



1789년

루이 16세 프랑스 대혁명 시작

0 Comments
Hot

인기 임진왜란 당시 고흥지역 수군 활약 담은 서적 - 임진왜란과 흥양수군

댓글 0 | 조회 2,310 | 추천 0
'임진왜란과 흥양수군' 책자./뉴스1 © News1 지정운 기자전남 고흥군은 임진왜란 당시 고흥지역 수군의 활약상을 담은 '임진왜란과 흥양수군' 책자를 출간한다고 27일 밝혔다.'… 더보기
Hot

인기 고흥, 이순신 수군 부활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3,551 | 추천 0
육군서 수군으로 옮긴 충무공, 고흥 도화면서 18개월간 근무郡, 지역주민에 명예관직 부여 “선조업적 계승해 자긍심 키울것”전남 고흥군 도화면 발포리에 있는 발포 해안성(진성) 내에… 더보기
Hot

인기 부산 안락동 충렬사(忠烈祠)

댓글 0 | 조회 2,420 | 추천 0
◈충렬사[忠烈祠]【밀양】【울산】【죽산】▶이곳은 우리 민족의 역사상 불굴의 호국정신을 장렬히 발휘한 성열들의 영령을 모신곳으로 원래는 선조[宣祖]38 [1605]년에 동래 읍성 남문… 더보기
Hot

인기 인물사 연표(2/2) - 유럽.아메리카, 아시아.아프리카, 한국

댓글 0 | 조회 3,121 | 추천 0
(2/2) 1781년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발표 1781년 김홍도 어진화사로 정조 초상화작업 1789년 조지 워싱턴 미국 초대 대통령 당선 1789년 루이 16세 프랑스 … 더보기
Now

현재 인물사 연표(1/2) - 유럽.아메리카, 아시아.아프리카, 한국

댓글 0 | 조회 3,074 | 추천 0
(1/2) BC 2333년 단군 단군조선 개국 BC 1790년 함무라비 함무라비법전 편찬 BC 1100년 주의 무왕 주나라 건국 BC 800년 호메로스 [일리아드] [오딧세이] 집… 더보기
Hot

인기 창원박씨 병마사공 장단파 종중 게시판의 글

댓글 0 | 조회 4,936 | 추천 0
[편집자 주] 본 자료는 다음카페 "창원박씨 병마사공 장단파 종중"에 있는 글을 옮긴 자료 입니다.감개무량합니다.2011년 4월 1일 , 병마사공 장단파 대표회장 박종우님께서 보내… 더보기
Hot

인기 유인 창원박씨 효열기적비 제막식 - 청주한씨 양절공파

댓글 0 | 조회 4,452 | 추천 0
유인 창원박씨 효열기적비 제막식(한중섭, 한창섭 일가 조모님)별량면 금치리 과동 청주한씨 양절공파 행사유인 창원박씨 효열기적비(儒人 昌原朴氏 孝烈紀績碑)주요 내용청주한씨 양절공파 … 더보기
Hot

인기 서원(書院)의 기원과 기능

댓글 0 | 조회 3,589 | 추천 0
※ 서원의 기원우리나라에 서원이 설립된 것은 1542년이었다. 당시 풍기군수였던 주세붕 선생은 안향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안향 선생이 학문을 하던 곳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을 설립… 더보기
Hot

인기 박씨 시조왕 실존인물 뒷받침 유적

댓글 0 | 조회 4,708 | 추천 0
시조왕 실존인물 뒷받침 유적"박혁거세는 실존인물" 신라초기 유적 발견 경주시 탑동 나정서[조선일보 유석재 기자]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실존 인물이라고 쓴 ‘삼국사기’의 … 더보기
Hot

인기 족보 보는 법

댓글 0 | 조회 9,059 | 추천 0
족보 보는 법족보(族譜)를 보는 방법을 몰라 자녀들에게 집안의 내력을 설명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그것은 젊은세대들이 족보(族譜)에 관심이 없는 것도 있겠으나, 정작 낡은 유물이나 … 더보기
Hot

인기 문화재 용어

댓글 0 | 조회 5,642 | 추천 0
문화재 용어● 간기(刊記)간행물의 간행일시 . 간행처 . 간행자 . 편저자 등 간행에 관계 되는 사항을 적은 것● 간찰(簡札)편지의 다른 말● 갑주(甲胄)갑옷과 투구● 고분군(古墳… 더보기
Hot

인기 유적의 명칭(名稱)

댓글 0 | 조회 7,013 | 추천 0
유적의 명칭(名稱)• 전(殿)궁궐, 향교, 절등과 같이 여러채의 건물이 있을 때 그 중에서 가장큰 집을 일컫는 말이다. 예) 대성전(大成殿), 대웅전(大雄殿)• 묘(廟)세상에 공적… 더보기
Hot

인기 신라 시조 박혁거세가 눈물 흘린다는 비석

댓글 0 | 조회 2,725 | 추천 0
입력 : 2010.04.03 04:14[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불던 날, 숭덕전 안에 있는 세 개의 비석에 물이 흘러내렸다. 이 물의 정체를 두고 사람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정말 비… 더보기
Hot

인기 우리나라와 외국의 족보 현황

댓글 0 | 조회 2,487 | 추천 0
1) 우리나라의 족보현황• 우리나라의 족보는 세계에서 부러워 할 정도로 가장 발달된 족보로 정평이 나 있으며, 보학의 宗主國(종주국)으로 꼽힌다.따라서 우리나라보다 외국에서 더 많… 더보기
Hot

인기 족보(族譜)의 편찬 절차

댓글 0 | 조회 8,246 | 추천 0
⊙ 족보(族譜)의 편찬 방법족보(族譜)를 새로 수보(修補) 할 때는 문중 (門中)회의를 소집해 보학(譜學)을 잘 알고 있거나 덕망이 있는 분으로 족보(族譜) 편찬 위원회를 구성하여… 더보기

Social Login

빠른 링크 Quick Links
사이트 현황 State 20180805
  • 현재 접속자 0 명
  • 오늘 방문자 628 명
  • 어제 방문자 1,441 명
  • 전체 방문자 910,272 명
  • 전체 게시물 941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