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영의정 박원종 연구 朝鮮朝 領議政 朴元宗 硏究(2001,8.15, 국학자료원) 관리자 0 2341 0 2018.07.29 14:53 조선조 영의정 박원종 연구 朝鮮朝 領議政 朴元宗 硏究 박상진 著 / 2001.8.15 發行 / 국학자료원 刊 이 책은 조선조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의 3대에 걸쳐 역임(歷任)한 영의정(領議政) 박원종(朴元宗)에 관련된 자료를 정리한 책이다. 박원종(朴元宗)은 본관이 순천(順天)으로 전통적인 훈구공신(勳舊功臣)이며, 무관 가문(武官家門)에 출생하여, 1486년(성종 17)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그의 아버지인 박중선(朴仲善) 또한 무과에 장원급제(壯元及第)하여 이시애(李施愛)의 반란을 평정하고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과 익대(翊戴)·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에 각각 책록된 인물로, 월산대군(月山大君)과 제안대군(齊安大君)의 장인이기도 하다. 1506년(연산군 12)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있던 박원종은 왕의 폭정(暴政)이 극에 달하여 종묘사직(宗廟社稷)이 도탄(塗炭)에 빠지고, 백성들의 생활이 피폐해짐을 보자 분연히 의를 떨쳐 일어나 목숨을 걸고 전 이조참판 성희안(成希顔)·이조판서 유순정(柳順汀)과 함께 반정(反正)을 단행하여 연산군(燕山君)을 폐하고, 중종을 추대(推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126명 중에 수위(首位)에 기록되고,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에 봉해지고,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오른 인물이다. 목차 화보 책머리에 박원종(朴元宗)의 가계(家系) 득관조(得貫祖) 중흥조(中興祖) 가계(家系) 1 세조(朴淑貞) 2 세조(朴元龍) 3 세조(朴天祥) 4 세조(朴可興) 5 세조(朴錫命) 6 세조(朴去疎) 7 세조(朴仲善) 9 세조(朴 雲) 박원종(朴元宗)에 대한 소고(小考)1. 박원종의 출신에 대하여 2. 박원종의 출사(出仕)와 관력(官歷)에 대하여 3. 박원종의 인품(人品)과 처신(處身)에 대하여 4. 박원종의 학문(學問) 정도에 대하여 5. 중종(中宗)의 후궁 경빈박씨(敬嬪朴氏)에 대하여- 가계도(家系圖) - 연보(年譜) 묘도문(墓道文)선고소양공신도비문 (先考昭襄公神道碑文) 충렬공신도비문 (忠烈公神道碑文)충렬공묘지명 (忠烈公墓誌銘) 전(傳) <명신록(名臣錄)>에서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에서 <인물고(人物考)>에서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에서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서 박원종 해동명신록(朴元宗 海東名臣錄) 서(序) <허백정집(虛白亭集, 洪貴達著)>에서 <이락정집(二樂亭集, 申用漑著)>에서 회맹·제문(會盟·祭文) 구공신 회맹문(九功臣會盟文) 십공신 회맹문(十功臣會盟文) 영조대왕유제문(英祖大王諭祭文) 만사(輓詞)좌의정 이행(左議政 李荇) 좌의정 신용개(申用漑) 영의정 성희안(成希顔) 평성부원군 부인만사(平城府院君夫人挽詞)좌의정 신용개(左議政 申用漑) 유사(遺事)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월송정기사(越松亭記事) 도산 박원종 별저지(陶山朴元宗別邸址) 제영(題詠)안 축(安 軸) 이 곡(李 穀) 민수천(閔壽千) 성 현(成 俔) 숙종대왕(肅宗大王) 어제시(御製詩) 기문(記文) 월송정 중건기(越松亭重建記) 도산의 박씨산장기(陶山朴氏山庄記)유허지 답사기(遺墟趾踏査記) 수먹먹요(首墨墨謠)평성부원군박원종의 그림병풍을 소재로 한 八絶詩(題平城朴元宗畵屛八絶) 조선왕조실록 충렬공관계기사(朝鮮王朝實錄 忠烈公關係記事)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부록朴仲善 碑銘 平城府院君朴公神道碑銘 海東名臣錄 朴元宗武烈公 送平城朴公元宗觀察江原序 送左議政朴元宗赴京序 陶山朴氏山庄記 題平城朴元宗 屛八絶 [출처] 조선조 영의정 박원종 연구 朝鮮朝 領議政 朴元宗 硏究(2001)|작성자 보산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