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의 종류 관리자 0 4963 0 2018.07.29 20:50 족보의 종류와 개념족보란 모든 보첩류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그 안에는 많은 하위 개념들이 존재한다(혈연뿐 아니라 사회적인 관계와 지위에 따라 제작된 족보도 존재하였다). 한국에서 대표적으로 알려진 족보의 개념을 모아보면 다음과 같다. 대동보(大同譜)각 본관별로 시조 이하 모든 파들을 계통별로 하나도 빠짐없이 수록한 족보. 같은 시조로부터 갈라져 나온 씨족을 모두 통합하여 만든 보첩이다. 같은 시조로부터 비롯한 중시조와 다른 본관을 가지고 있는 씨족까지를 싣는다. 대종보(大宗譜)는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파보(派譜) 분파된 파계만을 수록한 족보. 누단자 없이 수단을 철저히 하는 한편 현조의 행적을 상세히 수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어느 한 파속(派屬)만의 이름과 행적을 수록한다. 족보(族譜), 종보(宗譜) -본관을 단위로 같은 씨족의 세계를 수록한 족보책으로, 한 가문의 역사 와 집안의 계통을 수록한 책이다.세보(世譜), 세지(世誌)각 파의 계보로서 파보와는 달리 상계를 밝히고 분파 경로 및 각 파간의 계통과 각 파조의 내력 등을 넣는 것이 다르다. 여러 파가 모여 공동의 상계를 만들기 때문에 세보를 모두 모으면 대동보가 되며, 각자는 자신의 파보만 소장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세지(世誌)라고도 하여, 한 종파(宗派) 이상이 동보(同譜) 또는 합보(合譜)로 편찬하거나 어느 한 파속(派屬)만을 수록한다. 파보(派譜), 지보(支譜) 시조로 부터 시작하여 한 종파만의 이름과 벼슬, 업적 등을 수록한 책이다. 이들 파보에는 그 권수가 많아 종보를 능가하는 것도 적지 않다. 파보는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증가되어가고, 그 표제에 연안김씨파보, 경주이씨 좌랑공 파보,순 창설씨 함경파세보 등과 같이 본관과 성씨 외에 지파의 중시조명 또는 집 성촌, 세거지 지명을 붙이고 있으나, 내용과 형식에서는 족보와다름없다.가승보(家乘譜)한 개인의 직계 계통과 주요 조상에 대한 생일, 기일 등을 참고하기 위해 작성한 보첩이다. 개인의 직계 존속만 수록하지만 대개 고조 이하 당내친(堂內親)은 모두 수록한다. 가승(家乘)이라고도 부르며, 시조로부터 자기의 직계존속과 비속에 이르기까지 이름자와 사적을 기록한 보첩으로, 다른 보첩 편찬의 기본이 된다. 종가에서는 족보를 수장하지만 그렇지 못한 지가(枝家)에서 이에 근거한 가승보를 만들어 보유하기도 한다. 첩(牒)의 형식으로 되어있는 것을 가첩(家牒)이라고 한다.내외보(內外譜)인아보(姻亞譜)라고도 한다. 내보와 외보로 나뉘며, 내보에 나타나는 역대 조상의 배우자 하나하나를 대상으로 배우자 씨족의 시조로부터 그 배우자에 이르기까지의 계보를 내보 형식으로 기록하였다. 《기성황씨내외보》가 있으며, 《은진송씨외보》 · 《고령김씨외보》처럼 외가 계보만으로 구성된 외보도 있다.계보(系譜)계통만을 밝히기 위해 각 파, 또는 개인의 선조의 휘(諱)만 기록한 계열도나 세계표가 계보에 해당한다. 내림족보라고도 부르며, 한 가문의 혈연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름자만을 계통적으로 나타내는 도표로서, 한 씨족 전체를 수록하거나 어느 한 부분을 수록한다(서양의 가계도를 보첩에 비교하면, 이 계보에 속하게 된다). 가승보와 마찬가지로 첩의 형식으로 되어있는 것을 가첩이라고 부른다.만성보(萬姓譜)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라고도 하며, 국내 모든 성씨의 족보에서 큰줄 기를 추려 내어 모아놓은 책으로 모든 족보의 사전 구실을 하는 것이다. 『청구씨보(靑丘氏譜)』, 『잠영보(簪纓譜)』, 『만성대동보(萬成大同譜)』, 『조선씨족통 보(朝鮮氏族統譜)』 등이 있다.기타 - 『문보(文譜)』, 『삼반십세보(三班十世譜)』, 『진신오세보(縉紳五世譜)』, 『호 보(號譜)』와 같이 현달한 조상의 세계를 명백히 하려고 한 보서(譜書)나 『대방세가언행 록(帶方世家言行錄)』, 『보성선 씨오세충의록(寶城宣氏五世忠義錄)』 등과 같이 조상 중 충,효,절,의가 특히 뛰어난 사적과 공훈을 수록한 것도 있다. 또한, 환관(내시) 사이에도 계보를 끊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 성이 다른 자손을 입양시켜 자손으로 삼고 가계를 보존 하고 있는 양세계보(養世系譜) 등도 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