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의 명칭(名稱) 관리자 0 6637 0 2018.07.29 21:59 유적의 명칭(名稱) • 전(殿)궁궐, 향교, 절등과 같이 여러채의 건물이 있을 때 그 중에서 가장큰 집을 일컫는 말이다. 예) 대성전(大成殿), 대웅전(大雄殿) • 묘(廟) 세상에 공적을 남기고 죽은사람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건물이다. 예) 종묘(宗廟), 문묘(文廟) • 사우(祠宇)학문과 덕행(德行)이나 무공(武功)을 세운 인물의 위업 (偉業)과 그 정신을 추모하기위하여 지은 건물로 신주 (神主)를 모신다. 옛날에는 부모가 세상을 떠나면 3년상을 치른 뒤 신주를 모시고 5대손에 이를러서 매주(埋主)하고 산소에서 시제(時祭)를 지냈다. • 부조묘(不조廟)·불천위(不遷位)나라에 큰공을 세운 명예로운 조상으로서 그 위패(位牌)를 옮기지 아니하고 대대로 모시는 건물이다. 교묘(郊廟) 또는 조묘(조廟)라고도 한다. • 별묘(別廟)묘와는 달리 특별하게 따로지은 사당(祠堂)을 말한다. • 영당(影堂) 조상의 영정(影幀: 肖像)을 모시기 위하여 세운 건물이다. • 당(堂)거주를 목적으로 하지않고 특별히 지은집 또는 공청 (公廳)을 뜻한다. 예) 명륜당(明倫堂) • 원(院)거주를 목적으로 하지않는 건물과 정원을 뜻한다. • 정사(精舍)학문을 쌓고 수양하거나 또는 풍월(風月)을 즐기기 위하여 세운집을 말한다. • 정문(旌門)·정려(旌閭)효행(孝行), 충절(忠節), 정절(貞節)이 뛰어난 사람의 그 뜻을 높이고 다른사람에게 권장하기 위하여 국가 또는 사회에서 표창하는 문(門)이다. • 유허비(遺墟碑)선조(先祖)들이 살았던 곳 또는 그 위엄을 기리던 곳에 자손이나 친지들이 그 터를 보존하기 위하여 세우는 비(碑)이다. • 신도비(神道碑)나라에 크게 공헌하며 거룩하게 산 사람의 일생 동안의 업적을 기록하여 후세에 길이 남기기위해 세우는 비(碑)이다. • 재실(齋室)조상의 제사를 경건하게 받들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단정히하고 제수를 장만하기위하여 특별히 지어 놓은 집. • 단(壇)묘소를 실전(失傳)하였거나 아예 묘소가 없는 사람의 체백(體魄)을 모신 것 처럼 묘소나 비를 세워놓고 제사 지내는 곳이다. • 헌(軒)마루 또는 공청(公廳)을 말 한다. 예) 오죽헌(烏竹軒) • 루(樓)와 각(閣)높다랗게 지은 건물이다. 예) 광헌루, 촉석루 • 대(臺)사방을 바라볼 수 있고, 관망이 좋은 곳에 세워진 건물 또는 축대이다. 예) 해운대, 경포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