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용어 관리자 0 5642 0 2018.07.29 22:09 문화재 용어 ● 간기(刊記) 간행물의 간행일시 . 간행처 . 간행자 . 편저자 등 간행에 관계 되는 사항을 적은 것 ● 간찰(簡札) 편지의 다른 말 ● 갑주(甲胄) 갑옷과 투구 ● 고분군(古墳群) 옛날무덤이 집단으로 분포하여 있는 곳 ● 공포(拱包) 목조건물의 처마 하중을 받쳐주는 구조물 ● 광배(光背)부처의 몸으로 나오는 빛을 말하는 것으로, 두광 . 신광 . 거신광 의 3가지가 있다.頭光은 머리에서 나오는 빛이고, 身光은 몸에서 나오는 빛이며, 擧身光은 두광, 신광의 구분없이 전신에서 나오는 빛을 표현한 것이다 ● 괘불(掛佛) 법회를 야외에서 거행할 때 불상대신 높이 거는 부처그림 ● 극락전(極樂殿, 극락보전)아미타여래상을 안치한 불상 ● 금구(禁口) 절에서 대중을 불러 모으거나 급한 일을 알리는데 사용하는 쇠북● 금당(金堂) 절의 중심건물로서 본존불을 안치하는 건물● 기단(基壇)탑 . 정자 . 건물 등 건축물 밑에 돌로 높이 쌓아 만든 기반이 되는 받침● 단갑(短甲) 상반신만을 가리게 만든 갑옷● 단령(團領) 옷깃의 형태가 둥근 옷 ● 당좌(撞座) 종을 치는 자리● 당초무늬(唐草紋)덩굴풀이 뻗어 나가는 모양을 그린 무늬● 대웅전(大雄殿,대웅보전,금당) 선종계 사원에서 본존불을 모신 불당● 명와(銘瓦) 제작년대, 장소 등의 글이 새겨져 있는 기와● 미륵불(彌勒佛) 현세의 부처님 다음에 온다는 미래의 부처● 바리(鉢)1. 사찰에서 사용하는 스님의 밥그릇 2. 입지름 20㎝이상의 그릇● 백호(白毫)눈썹사이에 난 터럭으로서 온세상에 광명을 비춘다고 함불상에서는 눈썹사이에 진주, 비취, 금 따위를 박아 표시함.● 부장품(副葬品)시신을 묻을 때 같이 묻는 여러 가지 패물, 그릇, 연장따위● 분묘(墳墓)무덤● 불발(佛鉢)절에서 스님들이 사용하는 독특한 식기● 비로자나불지덕의 빛으로 온 세상을 두루 비친다는 지혜의 부처● 사적비(寺蹟碑)절이 있었던 사실을 나타내는 비석● 사지(寺址)절터● 삼수소매 끝에 덧대는 천● 상쇠 농악대에서 꽹과리를 잡고 선두에서 전체를 지휘하는 사람 ● 새보(璽寶) 임금이 사용하던 도장● 석실묘(石室墓) 돌로 쌓아 만든 무덤● 석전제(釋奠祭) 공자를 제사 지내는 의식● 양관(洋館) 서양식 건물● 여래불(如來佛)부처를 높여 부르는 말● 여장(女墻) 성위의 낮은 담으로 총구와 타구가 있는 구조물● 영산회정(靈山會幀)부처님이 인도의 영취산에서 법화경과 무량수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옹성(甕城)성문을 밖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에 설치한 이중성벽● 유허비(遺墟碑)유적이 있던 사실을 나타내는 비석● 재직(齋直)향교를 관리하던 명예직 관원● 직령(直領)옷깃의 형태가 직선인 옷● 철릭(天翼)무관이 입는 평상시 복장● 청동금구(靑銅禁口)청동으로 만든 북● 치성(稚城) 돌출되게 쌓은 성벽으로 감시초소와 측면 공격 역할을 하였다.● 토광묘(土鑛墓)구덩이를 파서 시신을 묻은 무덤● 통견(通肩)두 어깨를 모두 가리는 형식의 스님 복장● 파배(杷杯) 손잡이가 달린 술잔 ● 명륜당(明倫堂) 성균관이나 향교에서 유학을 강론하는 집, 유학의 윤리를 밝힌다는 뜻이 있음.● 동.서무(東.西무)대성전 좌우에 있는데 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일종의 사당● 동.서재(東.西齋)명륜당 앞 좌우에 있는 집으로 유생들이 글 공부하거나 기숙하던 곳, 신분이나 정원과 관계되기도 함● 전사청(典祀廳)제향에 필요한 제물 마련 등을 위하여 사용하던 집● 제기고(祭器庫)제사때 쓰는 기구 등을 넣어두는 창고● 고직사(庫直舍)관리인들이 거주하거나 물품 보관하는 곳● 약사전(藥師殿)약사여래상을 안치한 불전● 비로전(毘盧殿)대적광전. 비로자나불을 모신 불전● 관음전(觀音殿)원통전, 관음보살을 안치한 불전● 미륵전(彌勒殿)용화전 . 미륵불이나 보살을 안치한 불전● 광명전(光明殿)대광명전. 암흑을 비추어 신앙상의 지견을 준다는 뜻으로 수신하는 불전● 대장전(大臧殿)불교성전을 간직하는 불전● 팔상전(捌相殿)석가8상의 그림과 존사를 각각 나누어 모신 불전● 보광전(普光殿)널리 광명을 놓아 십방을 두루 비친다는 뜻이 담긴 불전● 영산전(靈山殿)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영산회의 불보살을 노래한다는 뜻으로 지은 불전● 천불전(千佛殿)천개의 불상 또는 수 많은 불상을 모신 불전● 응진전(應眞殿)나한전. 아라한을 모신 불전● 명부전(冥府殿)시왕전, 지장전, 지장불살을 주불로 하고 염마, 기타 시왕제신을 안치한 불전● 칠성각(七星閣)불교에서 칠원성군울 예불의 대상으로 모신 집● 삼성각(三星閣)세성인(환인. 환웅. 환검)을 모신 집, 삼신각● 선방(禪房)선실. 선당. 불교 선종에서 참선하는 방● 화엄강당(華嚴講堂)만행, 만덕을 닦아서 덕과를 장엄하게 하는 것을 설론하는 집● 적멸궁(寂滅宮)적멸보궁. 불상을 모시지 않는 법당. 즉 열반을 상징함● 만세루(萬歲樓)부처의 뜻은 만세를 밝힌다는 뜻에서 절의 누문에 붙인 이름● 국사전(國師殿)국사로 추종된 불승이 세운 절 또는 국사를 모신 건물● 조사당(祖師堂)조사의 영정을 모신 건물● 요사(僚舍)승려들이 거처하는 건물● 해우소(解憂所)변소(화장실)● 풍경(風磬)처마. 추녀끝에 달아 바람에 흔들리는 날개를 달아 둔 작은 종● 목어(木魚)어고. 어판. 절에서 나무를 물고기 모양처럼 만들고 속을 파내어 만든 것● 종묘(宗廟)역대 제왕의 위패를 모신 사당. 조선왕조의 역대왕의 위패를 모신 종묘는 세계유산으로 지정등록 되었음● 성균관(成均館)유교의 교육을 맡아보던 기관으로 일종의 국립교육기관● 문묘(文廟)공자를 모신 사당구역을 말하는데 성균관이나 향교에 설치함● 향교(鄕校)공자 이하 역대 유명한 유학자를 봉사하고 교육을 위하여 지방 군현에서 공립으로 운영하던 교육기관● 서원(書院)지방의 사립교육기관으로 교육과 봉사를 함.● 사우(祠宇)선현을 봉사하는 사당으로 공공의 여론을 통하여 건립된 경우를 사우라 함.● 사당(祠堂)죽은 사람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하는 집● 비각(碑閣)비석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건물● 누각(樓閣)지상2층으로 지은 집● 객사(客舍)조선조 때 관아의 하나로 각 고을마다 두었는데 임금을 상징하는 궐패를 모셔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올리며 지방에 오는 관원이 기거하는 집● 사고(史庫)나라의 사기와 중요 서적을 수장하던 곳● 행각(行閣)궁궐 또는 공공건축물의 정전 주위에 둘러져 지은 건물● 대성전(大成殿) 문묘나 향교에서 공자나 대현의 위패를 모신 전각. 공자의 시호인 대성지선문선왕과 연관된 것으로 보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