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용어

참고문헌
홈 > 뿌리알기 > 참고문헌
참고문헌

문화재 용어

관리자 0 5642 0

문화재 용어

931a9356ebc42ce6977a060ea2667d6c_1532870386_4526.jpg
 

● 간기(刊記) 

간행물의 간행일시 . 간행처 . 간행자 . 편저자 등 간행에 관계  되는 사항을  적은 것

 

● 간찰(簡札) 

편지의 다른 말 


● 갑주(甲胄) 

 갑옷과 투구 


● 고분군(古墳群) 

옛날무덤이 집단으로 분포하여 있는 곳 


● 공포(拱包) 

목조건물의 처마 하중을 받쳐주는 구조물 

 

● 광배(光背)

부처의 몸으로 나오는 빛을 말하는 것으로, 두광 . 신광 . 거신광 의 3가지가 있다.

頭光은 머리에서 나오는 빛이고, 身光은 몸에서 나오는 빛이며, 擧身光은 두광, 신광의 구분없이 전신에서 나오는 빛을 표현한  것이다 


● 괘불(掛佛) 

법회를 야외에서 거행할 때  불상대신 높이 거는 부처그림 
931a9356ebc42ce6977a060ea2667d6c_1532870498_6336.jpg
 

● 극락전(極樂殿, 극락보전)

아미타여래상을 안치한 불상  


● 금구(禁口) 

 절에서 대중을 불러 모으거나 급한 일을 알리는데 사용하는 쇠북


● 금당(金堂)

 절의 중심건물로서 본존불을 안치하는 건물


● 기단(基壇)

탑 . 정자 . 건물 등 건축물 밑에 돌로 높이 쌓아 만든 기반이 되는 받침


● 단갑(短甲) 

상반신만을 가리게 만든 갑옷


●  단령(團領)

 옷깃의 형태가 둥근 옷

 

● 당좌(撞座)

 종을 치는 자리


● 당초무늬(唐草紋)

덩굴풀이 뻗어 나가는 모양을 그린 무늬


● 대웅전(大雄殿,대웅보전,금당)

 선종계 사원에서 본존불을 모신 불당


● 명와(銘瓦)

 제작년대, 장소 등의 글이 새겨져 있는 기와


● 미륵불(彌勒佛)

 현세의 부처님 다음에 온다는 미래의 부처


● 바리(鉢)

1. 사찰에서 사용하는 스님의 밥그릇   

2. 입지름 20㎝이상의 그릇


● 백호(白毫)

눈썹사이에 난 터럭으로서 온세상에 광명을 비춘다고 함

불상에서는 눈썹사이에 진주, 비취, 금 따위를 박아 표시함.


● 부장품(副葬品)

시신을 묻을 때 같이 묻는 여러 가지 패물, 그릇, 연장따위


● 분묘(墳墓)

무덤


● 불발(佛鉢)

절에서 스님들이 사용하는 독특한 식기


● 비로자나불

지덕의 빛으로 온 세상을 두루 비친다는 지혜의 부처


● 사적비(寺蹟碑)

절이 있었던 사실을 나타내는 비석


● 사지(寺址)

절터


● 삼수

소매 끝에 덧대는 천


● 상쇠

 농악대에서 꽹과리를 잡고 선두에서 전체를 지휘하는 사람

 

● 새보(璽寶)

 임금이 사용하던 도장


● 석실묘(石室墓)

 돌로 쌓아 만든 무덤


● 석전제(釋奠祭)

 공자를 제사 지내는 의식


● 양관(洋館)

 서양식 건물


● 여래불(如來佛)

부처를 높여 부르는 말


● 여장(女墻)

 성위의 낮은 담으로 총구와 타구가 있는 구조물


● 영산회정(靈山會幀)

부처님이 인도의 영취산에서 법화경과 무량수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 옹성(甕城)

성문을 밖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에 설치한 이중성벽


● 유허비(遺墟碑)

유적이 있던 사실을 나타내는 비석


● 재직(齋直)

향교를 관리하던 명예직 관원


● 직령(直領)

옷깃의 형태가 직선인 옷


● 철릭(天翼)

무관이 입는 평상시 복장


● 청동금구(靑銅禁口)

청동으로 만든 북


● 치성(稚城)

 돌출되게 쌓은 성벽으로 감시초소와 측면 공격 역할을 하였다.


● 토광묘(土鑛墓)

구덩이를 파서 시신을 묻은 무덤


● 통견(通肩)

두 어깨를 모두 가리는 형식의 스님 복장


● 파배(杷杯)

 손잡이가 달린 술잔

 

● 명륜당(明倫堂)

 성균관이나 향교에서 유학을 강론하는 집, 유학의 윤리를 밝힌다는 뜻이 있음.


● 동.서무(東.西무)

대성전 좌우에 있는데 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일종의 사당


● 동.서재(東.西齋)

명륜당 앞 좌우에 있는 집으로 유생들이 글 공부하거나 기숙하던 곳, 신분이나 정원과 관계되기도 함


● 전사청(典祀廳)

제향에 필요한 제물 마련 등을 위하여 사용하던 집


● 제기고(祭器庫)

제사때 쓰는 기구 등을 넣어두는 창고


● 고직사(庫直舍)

관리인들이 거주하거나 물품 보관하는 곳


● 약사전(藥師殿)

약사여래상을 안치한 불전


● 비로전(毘盧殿)

대적광전. 비로자나불을 모신 불전


● 관음전(觀音殿)

원통전, 관음보살을 안치한 불전


● 미륵전(彌勒殿)

용화전 . 미륵불이나 보살을 안치한 불전


● 광명전(光明殿)

대광명전. 암흑을 비추어 신앙상의 지견을 준다는 뜻으로 수신하는 불전


● 대장전(大臧殿)

불교성전을 간직하는 불전


● 팔상전(捌相殿)

석가8상의 그림과 존사를 각각 나누어 모신 불전


● 보광전(普光殿)

널리 광명을 놓아 십방을 두루 비친다는 뜻이 담긴 불전


● 영산전(靈山殿)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영산회의 불보살을 노래한다는 뜻으로 지은 불전


● 천불전(千佛殿)

천개의 불상 또는 수 많은 불상을 모신 불전


● 응진전(應眞殿)

나한전. 아라한을 모신 불전


● 명부전(冥府殿)

시왕전, 지장전, 지장불살을 주불로 하고 염마, 기타 시왕제신을  안치한 불전


● 칠성각(七星閣)

불교에서 칠원성군울 예불의 대상으로 모신 집


● 삼성각(三星閣)

세성인(환인. 환웅. 환검)을 모신 집, 삼신각


● 선방(禪房)

선실. 선당. 불교 선종에서 참선하는 방


● 화엄강당(華嚴講堂)

만행, 만덕을 닦아서 덕과를 장엄하게 하는 것을 설론하는 집


● 적멸궁(寂滅宮)

적멸보궁. 불상을 모시지 않는 법당. 즉 열반을 상징함


● 만세루(萬歲樓)

부처의 뜻은 만세를 밝힌다는 뜻에서 절의 누문에 붙인 이름


● 국사전(國師殿)

국사로 추종된 불승이 세운 절 또는 국사를 모신 건물


● 조사당(祖師堂)

조사의 영정을 모신 건물


● 요사(僚舍)

승려들이 거처하는 건물


● 해우소(解憂所)

변소(화장실)


● 풍경(風磬)

처마. 추녀끝에 달아 바람에 흔들리는 날개를 달아 둔 작은 종


● 목어(木魚)

어고. 어판. 절에서 나무를 물고기 모양처럼 만들고 속을 파내어 만든 것


● 종묘(宗廟)

역대 제왕의 위패를 모신 사당. 조선왕조의 역대왕의 위패를 모신 종묘는 세계유산으로 지정등록 되었음


● 성균관(成均館)

유교의 교육을 맡아보던 기관으로 일종의 국립교육기관


● 문묘(文廟)

공자를 모신 사당구역을 말하는데 성균관이나 향교에 설치함


● 향교(鄕校)

공자 이하 역대 유명한 유학자를 봉사하고 교육을 위하여 지방 군현에서  공립으로 운영하던 교육기관


● 서원(書院)

지방의 사립교육기관으로 교육과 봉사를 함.


● 사우(祠宇)

선현을 봉사하는 사당으로 공공의 여론을 통하여 건립된 경우를 사우라 함.


● 사당(祠堂)

죽은 사람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하는 집


● 비각(碑閣)

비석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건물


● 누각(樓閣)

지상2층으로 지은 집


● 객사(客舍)

조선조 때 관아의 하나로 각 고을마다 두었는데 임금을 상징하는 궐패를 모셔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올리며 지방에 오는 관원이 기거하는 집


● 사고(史庫)

나라의 사기와 중요 서적을 수장하던 곳


● 행각(行閣)

궁궐 또는 공공건축물의 정전 주위에 둘러져 지은 건물


● 대성전(大成殿) 

문묘나 향교에서 공자나 대현의 위패를 모신 전각. 공자의 시호인 대성지선문선왕과 연관된 것으로 보임

 


0 Comments
Hot

인기 훈장 포장의 종류

댓글 0 | 조회 374 | 추천 0
■ 훈장 포장의 종류 무궁화대훈장(無窮花大勳章, Grand Order of Mugunghwa)무궁화대훈장은 대통령 및 그 배우자, 우방원수 및 그 배우자 또는 우리나라의 발전과 안… 더보기
Hot

인기 연령 명칭과 의미, 항렬이란?

댓글 0 | 조회 379 | 추천 0
■ 연령 명칭 명칭연령의미출전지학(志學)15세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논어약관(弱冠)20세남자 나이 스무살을 뜻함예기이립(而立)30세모든 기초를 세우는 나이논어불혹(不惑)40세사물의 … 더보기
Hot

인기 세(世)와 대(代)

댓글 0 | 조회 379 | 추천 0
세(世)와 대(代)세(世)란? 예컨대 조(祖)·부(父)·기(己)·자(子)·손(孫)을 계열의 차례대로 일컫는 말이며, 대(代)란? 사람이 나면서부터 30년간을 1代로 잡는 시간적공간… 더보기
Hot

인기 족보 상식, 족보 용어 해설

댓글 0 | 조회 518 | 추천 0
■ 족보상식1. 족보란 무엇인가?族譜(족보=보첩)란 한 宗族(종족)의 계통을 父系(부계)중심으로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나타낸 책으로, 同一血族(동일혈족)의 원류를 밝히고 그 혈통을… 더보기
Hot

인기 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왕실 및 대한민국 대통령 연표

댓글 0 | 조회 376 | 추천 0
신라 BC 57~935 왕실연표(朴씨10왕, 昔씨8왕, 金씨38왕, 56대 992년) 王代 (왕대)年代(연대)王代 (왕대)年代(연대)1대, 혁거세BC57~AD429대, 무열왕654… 더보기
Hot

인기 12간지연대표, 방위표

댓글 0 | 조회 456 | 추천 0
24방위도 *묘소의 방향이 자좌(子坐)로 되어 있으면 고인의 머리쪽이 정북쪽으로 향하고 있다는 뜻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묘지의 방향은 정남향이 됩니다 12간지 방위표우리나라는 옛부… 더보기
Hot

인기 역사연표 (조선개국 1393년 ~ 1910년)

댓글 0 | 조회 459 | 추천 0
연사연표 <조선~1910년>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1394년 10월 한양천도(漢陽遷都)1398년 8월 제1차 왕자의 난 일어남, 정도전, 남은 등 죽임을 … 더보기
Hot

인기 역사연표(1800년~1976년)

댓글 0 | 조회 564 | 추천 0
1801년 정순왕후(貞純王后) 대왕대비 김씨(金氏)의 명에 따라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 실시. 서얼소통 시행, 내사노비(內寺奴婢) 폐지 등 제도 개혁. 중국인 신부 주문모(周文謨)… 더보기
Hot

인기 역사연표(기원전.기원후~1797년)

댓글 0 | 조회 521 | 추천 0
< 역사 연표>◎ 기원전70만년전 한반도에 구석기 문화 시작10000년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단구 제3문화층. 욕지도(欲知島)유적… 더보기
Hot

인기 관향조 (휘)령의 조선왕조신록 연보 (2/2)

댓글 0 | 조회 3,043 | 추천 0
『 註) 조선왕조실록에 우리 관향조에 관련된 기록은 총 25건의 기록이 나타납니다.각 기사별로 당시의 정치 상황을 살펴서 이해하고 해설이 필요한 부분도 있습니다만, 자그만치 600… 더보기
Hot

인기 관향조 (휘)령의 조선왕조신록 연보 (1/2)

댓글 0 | 조회 2,555 | 추천 0
『 註) 조선왕조실록에 우리 관향조에 관련된 기록은 총 25건의 기록이 나타납니다.각 기사별로 당시의 정치 상황을 살펴서 이해하고 해설이 필요한 부분도 있습니다만, 자그만치 600… 더보기
Hot

인기 족보의 最古書 안동권씨 성화보(成化譜 )

댓글 0 | 조회 1,730 | 추천 0
현존 最古書안동권씨 성화보(成化譜 )1476년(성종 7) 간행된 안동 권씨(安東權氏)의 족보. 3책. 목판본.당시에는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성화연간에 만들어진 것이라 … 더보기
Hot

인기 [세조실록] 원종 공신, 주부 박홍간(朴弘幹)등은 3등에 녹훈

댓글 0 | 조회 2,596 | 추천 0
세조 2권 1년(1455을해년) 12월 27일 (무진) 003 / 의정부에 전지하여 연창위 안맹담 등을 원종 공신, 주부 박홍간(朴弘幹)등은 3등에 녹훈하다.③좌참찬(左參贊) 정갑… 더보기
Hot

인기 연대 대조표

댓글 0 | 조회 3,686 | 추천 0
연대 대조표
Hot

인기 고려시대 관청명 해설

댓글 0 | 조회 2,550 | 추천 0
[고려시대의 관청명(가)]관청명: 해 설가각고(架閣庫):고려때 궁중의도서,전적(典籍)을 맡아보던 관청,1356년에 설치, 종 7품의승과 종 8품의 주부를 두었다가옥(假獄):고려 광… 더보기

Social Login

빠른 링크 Quick Links
사이트 현황 State 20180805
  • 현재 접속자 0 명
  • 오늘 방문자 1,205 명
  • 어제 방문자 1,441 명
  • 전체 방문자 910,849 명
  • 전체 게시물 941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