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功臣)의 의미와 조선시대 공신 종류 관리자 0 3301 0 2018.11.08 15:46 공신(功臣)의 의미와 조선시대 공신 종류공신(功臣)은 왕조의 창업, 새로운 왕의 즉위, 전란의 평정 등 국가나 왕실을 위하여 특별한 공을 세웠다고 인정된 사람에게 주는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을 말한다.훈공(勳功)을 나타내는 명호(名號)를 주며, 등급을 나누어 포상(褒賞) 하였다. 이는 중국의 제도를 모방한 것으로서 신라시대에 이미 녹공(錄功)이 있었다고 한다.공신호(功臣號)를 설정했는지 여부 등 자세한 기록은 전하지 않아 내용을 잘 알 수 없다.문헌상 구체적으로 신제도가 시행된 것은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부터이다.고려 건국 직후인 918년 왕건은 개국에 공이 큰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등 4인을 1등 공신으로 삼고, 3등 공신에는 무려 2,000여 명을 책록하여 상(賞)을 주었다.940년(태조 23년)에는 신흥사(神興寺)를 중수(重修)하고 공신당(功臣堂 = 功臣閣)을 설치하고1등 및 2등 개국공신의 화상(畵像)을 동서 벽(璧)에 그려 개국벽상공신(開國璧上功臣)이라 부르고, 해마다 복을 비는 대회를 열었다.1019년(현종 10년) 거란 격퇴 이후 강감찬 등 5명에게 공신 칭호를 주면서 토지와 노비를 내려 준 이래 공신호 책록, 공신전 지급, 노비 사급이 정례화되었다.고려 초에는 녹권(錄券)을 주어 공신증명(功臣證明)으로 하였으나, 말기의 중흥공신(中興功臣)에게는 녹권 이외에 따로 교서(敎書)를 주었다.조선시대는 교서와 녹권을 병용(倂用)하였으며, 몇 대에 걸쳐 공신을 시상(施賞)하여 모두 28종에 달하였다. 그런데 초기의 개국(開國), 정사(定社), 좌명(佐命) 3공신의 정공신(正功臣)에 합하여 교서와 녹권을 아울러 주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게는 녹권만 주었다. 그러나 정난공신(靖難功臣) 이후에는 정공신에게는 교서만 주고 녹권은 원종공신에게만 주었다.왕은 특히 공신과 회맹(會盟)하였는데, 여기서 공신들은 나라에 충성을 다할 것과 자손 대대로 서로 친목할 것을 맹세하였다.공신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관청은 초기의 공신도감(功臣都監)이 1434년 (세종 16년) 충훈사(忠勳司)로 개칭되고, 1454년(단종 2년)에 충훈부(忠勳府)로 승격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이 관부에서는공신을 정할 일이 있으면 임시로 공신도감을 설치하고 의정부와 삼사(홍문관,사헌부, 사간원)에서 대상자의 공훈을 심사하여 1 ~ 3등으로 나누어 공신 칭호를 주되, 1등 공신에게는 10자(字), 2등 공신에게는 6 ~ 8자, 3등 공신에게는 2 ~ 4자의 훈호(勳號)를 쓰게 했다.공신은 국가로부터 토지와 녹봉을 받는 외에 별사전(別賜田),공신전(功臣田)까지 받는 대지주 양반 계층이었다. 공신은 자신은 물론 자손까지도 많은 특권을 누렸고, 공신전 이외에도 공신의 봉작(封爵)을 세습시켰다.공신의 봉작은 공신호를 받은 자로부터 4세(世)까지는 승습(承襲)되어 공신의 대우를 받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조상의 공신호를 물려 받은 자, 즉 공신승습자(功臣承襲者)와 처음 공신호를 받은 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공훈을 세운 당사자인 공신을 친공신(親功臣)이라고 한다.친공신으로 신사자(身死者)에게는 직위가 낮은 경우 정2품직을 추증하고 시호도 주게 되었다.당상관 이상의 친공신이 자식이 없을 때에는 생(甥), 질(姪), 여(女), 서(壻) 중에서 1명을 관직에 서용하고, 직자와 생질녀서 등이 있더라도 친공신이 그의 형제를 서용해 줄 것을 청원하면 이를 들어주었다.친공신이 봉군(封君)된 경우 '군(君)'앞에 '부원(府院)'을 붙여서 '○○부원군'이라고 불렀으며, 여러 가지 특혜를 부여했다.위에서 살핀 공신은 일반적으로 훈봉공신, 그 중에서도 친공신을 가리킨다. 공신에는 이러한 훈봉공신과 구별되는 배향공신(配享功臣)이 있다.배향공신은 임금이 죽어서 위패를 종묘에 모신 뒤 생전에 그 임금에게 특별한 공로가 있는 신하의 신주를 같이 모셨는데, 그렇게 임금의 신주를 모신 종묘에 배향되는 공신을 말한다.배향공신에게는 여러 특전이 부여되어, 당대와 후손의 큰 영예가 함께 하며, 후손이 죄를 지은 경우 그것을 감해주기도 했다. 배향공신에 대한 예도 고려시대에서 시작되었다.[ 조선시대 공신 종류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