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의 最古書 안동권씨 성화보(成化譜 ) 관리자 0 1366 0 2021.08.13 14:20 현존 最古書 안동권씨 성화보(成化譜 )1476년(성종 7) 간행된 안동 권씨(安東權氏)의 족보. 3책. 목판본.당시에는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성화연간에 만들어진 것이라 하여 성화보라 부르며, 현전 하는 우리나라 족보 중 가장 먼저 편찬된 것이다.이 책은 조선 초기에 의정부좌찬성과 예조판서 대사성을 지낸 바 있는 권제(權 踶 - 추밀공파 17世)가 중국의 ≪ 소씨보 蘇氏譜 ≫ 를 모방하여 편찬한 것을 아들 권람 ( 權擥 )이 자료를 수집하여 보완하였으나 일을 마치지 못하고 죽자, 권제의 생질인 대제학 서거정 ( 徐居正 )이 상주판관 박원창(朴元昌)과 대구부사 최호원 ( 崔灝元 )의 도움을 받아 다시 편집, 교열한 뒤 1476년 경상감사 윤호 ( 尹壕 )를 시켜 안동부에서 간행하였다.그 뒤 1919년 경상북도 안동의 안동 권씨 능동재사(陵洞齋舍)에서 목판본으로 중간되고, 1929년 다시 석인본으로 중간되었다.서거정은 서문에서 이 책을 간행한 뜻을 밝혔다.“ 옛날 중국에는 종법 ( 宗法 )이라는 것이 있어 소목 ( 昭穆 )의 순서를 정하고 적손(嫡孫)과 지손(支孫)을 구별하여 백세(百世)가 지나도 그 관계를 분명하게 밝힐 수가 있었는데, 대가 멀어지고 자손이 번성하자 국가에서 이를 관장할 수 없어 이 법을 폐지하였다.그 뒤 자기의 가계는 스스로 밝혀야 된다는 주장으로 이 보첩제도가 생겨났다. 이는 조상을 찾아 조상으로 섬기고 친척과 타인을 구별하여 친목을 두텁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隋) · 당(唐) 이후에는 국가의 기관으로 도보국(圖譜局)을 설치하여 관리를 두고 문서를 제작하여 혼인의 사실과 과거의 급제, 천거 등을 모두 기록하여 정사에 참고하게 한 것이 보첩의 시초이다.우리 나라에는 예로부터 종법도 없고 보첩도 없어서 겨우 몇 대만 지나면 조상의 명호를 잊어버리는 것이 예사로 되어 있어 친족과 조상을 존경할 수 있는 근거를 잃어버렸었다. 이렇게 되어서는 효제(孝悌)를 권장하고 예속(禮俗)을 성취시키고자 해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보첩을 만들게 되었다. 그러나 이미 소원한 상계(上系)에 있어서는 참고할 문헌이 있는 것만 찾아서 기재하고, 참고할 수 없는 것은 요약하여 사실만을 기재하였으며, 대수가 멀지 않아서 근거가 있는 것은 모두 찾아서 기재하였다. ”고 하였다.〔내 용〕 이 책에는 모두 약 9,000명의 인물이 등재되어 있는데, 본손뿐만 아니라 외손까지도 가계를 자세히 기록하고 인적사항을 명기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이 족보는 만성보(萬姓譜)와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이 책은 후기 족보체제와 다른 몇 가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대개 조선 초기 여성의 위치를 살펴볼 수 있다.첫째, 자녀를 기재하는 데 있어서 선남후녀(先男後女)로 하지 않고 그 출생순위에 따라 기재하고 있다. 조선 초기에는 유학사상이 지배적이지 못하였기 때문에 남존여비의 관념이 적었던 데에서 비롯되는 것이다.둘째, 딸을 기재할 때 오늘날과 같이 여(女)자 밑에 바로 서(壻)라 쓰지 않고 여부(女夫)라 쓴 다음에 사위의 성명을 썼다. 오늘날의 족보 기재상의 문제점으로서 여 밑에 바로 사위의 이름을 써서 딸의 이름으로 오인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딸을 천시하는 경향이라 볼 수 있는 점과 대조적이다.셋째, 딸이 재혼하였을 경우 후부(後夫)라 하여 재혼한 남편의 성명도 기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책에는 전부(前夫) · 후부로 구분하여 기록한 사실이 14개소에 나타나 있다.넷째, 외손도 본손과 같이 편찬 당시까지 대를 이어서 전부 기재되어 있다. 그 밖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가족관계에 있어서 지금처럼 사속(嗣續)을 중요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자녀가 없는 사람은 이름란 밑에 ‘ 무후(無後) ’ 라고 기재하였고, 양자한 사실은 단 한건도 찾아볼 수 없다. 경우에 따라서 무후라는 표시도 하지 않고 자녀란을 공란으로 비워둔 곳도 있는데, 이는 아마 자녀가 있어도 소재와 내력이 불분명하였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녀를 둘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특이한 것은 자녀를 모두 적자녀로 인정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서자녀의 표시가 한 곳도 없다.이 책보다 90년 뒤에 만들어진 문화 유씨(文化柳氏)의 ≪ 가정보 嘉靖譜 ≫ 에는 외손을 기재할 때 사람마다 성과 이름을 동시에 기재하여 문화 유씨가 아닌 타성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으나, 이 책에서는 사위만 성을 기재하여 타성임을 표시하고 외손은 이름만을 기재하여 외손도 자손임을 내포하고 있다.또한, 안동 권씨의 본손과 인척관계의 결연으로 이루어진 외손을 상세히 기재하고 있어 태조로부터 1481년(성종 12)까지 91년간에 치른 과거 74회에 걸쳐 급제한 사람의 수가 1,794명이었는데, 이 중 ≪ 성화보 ≫ 에 등재된 인물이 901명으로 전체의 51 %를 차지하고, 그 중 고위관원으로 등용된 사람이 거의 70 % 에 이른다. 관직의 명칭도 조선 초기에는 고려의 관명을 답습한 것이 많았으나, 국기가 안정되고 제도가 정비됨에 따라 명칭을 변경하였는데, 각 인물마다 당시의 관명으로 기재하고 있어 관명의 변천사항을 연구하는 데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규장각도서에 귀중본으로 지정되어 있다.-자료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권씨는 가장 먼저 족보를 만들었는가?안동권씨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族譜)를 만든 것이 자랑입니다. 이것이 '성화보(成化譜)'라는 한국 최초의 족보인데 이조 성종(成宗) 7년 병신(丙申), 서기 1476년에 출간되었습니다.이때가 중국 명(明)나라 헌종(憲宗)의 연호(年號)인 성화(成化) 12년이었는데, 이 시기를 성화연간(成化年間)이라 하고 성화연간에 나온 족보라는 뜻으로 '성화보(成化譜)'라 세칭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달리 '성화병신보(成化丙申譜)'라고도 하는데 본디 명칭은 '안동권씨세보(安東權氏世譜)'입니다.이 성화보가 나온지 90년 뒤에 문화유씨(文化柳氏)의 '가정보(嘉靖譜)'가 나왔습니다. 가정은 명나라 세종(世宗)의 연호입니다.중국에서는 우리나라보다 약 4세기쯤 앞선 11세기 북송(北宋) 시대에 성씨보(姓氏譜)가 마들어졌고 일반화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이 방면에서 뒤에 훨씬 더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처음에는 왕가(王家)의 계보(系譜)만 있어왔습니다. 그러나 왕가의 계보는 단선적(單線的)인 것이어서 이를 족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고려(高麗) 시대로 들어와서 백성도 성씨와 계보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고려는 문화 정책을 펴 뿌리가 없는 자는 과거시험을 보거나 관리 등으로 취직할 수 없게 하였으며, 이는 양반제도의 시초로 보여집니다. 그래서 많은 성씨들이 자기의 계대(系代)를 증명하는 세계표(世系表)를 만들게 되었는데 이를 가첩(家帖)이라는 등으로 불렀습니다. 이러한 가첩 또는 가승(家乘)은 각자가 그 직계(直系)만을 단선으로 적어 내려오고 그 방계(傍系)는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을 모두 모아 종합해서 가까운 방계는 물론 안동권씨 전체를 총괄하는 '족보'를 만들어 책자로 출간한 것이 '성화보'입니다.우리 사회가 급격히 현대화되면서 정부나 학계에서는 이같은 족보를 구습으로 생각하고, 특히나 외래종교인들의 경우는 아직도 족보를 챙기는 우리 겨레의 습성을 부끄러워하기까지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의 암흑기에 가장 많이 출판된 서적이 족보였다고 합니다. 이처럼 족보에는 우리의 근본과 주체를 지키려는 얼이 서려 있습니다. 많은 지식인·학자·교육자·정치사회지도자들이 족보를 백안시하고 퇴출시키려 하여도 우리나라에서 족보는 계속 출판되고 있습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선조들의 발자취를 더듬어 자랑스런 가문의 영광을 소중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며, 유교문화에 익숙해 있는 숭조정신에 바탕하며, 친척간의 단결과 협력의 기초를 마련하고 후손으로 하여금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화목한 기풍을 이루게 하기 위함일 것이다.☆ 외국인의 평가와그너 교수 국내 最初(최초) 조선초기 족보 연구미 하버드대 동양학과 에드워드 D 와그너 교수는 우리나라 最古(최고)의 族譜(족보)를 찾아내 學界(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그는 安東權氏成化丙申譜(안동권씨성화병신보)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마이크로 필름에서 성화보를 찾아내 이 족보는 이제까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文化柳氏(문화유씨) 家靖譜(가정보)(1562)보다 86년 앞선 1476년 간행본이며 3권 126면이라고 밝히면서 이 족보를 보면 朝鮮初期(조선초기) 사회가 동족 관념보다 女性(여성)의 지위, 相續制度(상속제도), 養子(양자)제도 등에서 조선후기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특기할 점은① 수록 자손의 범위에 親孫(친손)과 外孫(외손)을 同等하게 다루고 8촌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② 여자의 지위가 남자와 대등하게 출생서열대로 입록했으며③ 양자제도가 안보여 宗家(종가)관념이 희박한 것 같다고 하였다.그러나 조선 후기로 가면서 남녀 차별이 심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儒敎思想(유교사상)이 컸던 것 같다고 하였다.또 고려대 崔在錫(최재석)교수는 문화유씨가정보와 성화보를 연구하면서 17세기 이전에는 同族(동족)의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外孫奉祀(외손봉사)를 이단시 하거나 先男後女(선남후녀)의 사상, 장남상속, 祭祀(제사)는 長子(장자)에 한정시키는 등은 후기에 同姓不婚(동성불혼)과 族譜(족보)가 조직화되고 있다고 하였다. 와그너 교수는 서울에 체류하면서 과거급제자를 분석하여 사회지도층연구를 하였다.☆ 성화보 이후우리 가문에서 그간 편집되거나 간행한 대동보(大同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① 성화보(成化譜)권수 : 3권발간연대 : 성종7년(1476)양촌 근(近)의 아들 지재공(止齋公) 제(踶)가 아들 권람(權擥)과 함께 편찬한 것을 외손인 서거정(徐居正)이 마무리 편집해서 발간 했다.☆성화보 원본(규장각 소장)☆성화보 서문과 내용 원본☆성화보 서문과 발문 번역문한국족보박물관 심민호 학예연구사가 우리나라 최초의 족보인 성화보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② 을사보(乙巳譜)권수 : 16권발간연대 : 선조38년(1605)22세손 권율(權慄)이 을사년에 태사능을 참배할 때, 본래 안동 본부(本府)에 있었던 보판(譜板)이 임진왜란 때 없어졌으므로 다시 간행해야한다는 건의를 듣고, 23세손 용만(龍巒) 기(紀)가 책임을 지고 편수를 하였으나 완성 하지 못하고 간행되지 못했다.③ 갑오보(甲午譜)권수 : 1권발간연대 : 효종5년(1654)을사보(乙巳譜)를 손질한 것으로 동곡(東谷) 우(沚)가 맡아 편집하였다.④ 신사보(辛巳譜)권수 : 13권발간연대 : 숙종27년(1701)25세손 산택재(山澤齋) 태시(泰時)가 유학(幼學) 담 (嬀), 징(桰登), 만구(萬矩), 두한(斗韓), 처경(處經), 및 군수(郡守) 성구(聖矩), 현감(縣監) 두인(斗寅)과 함께 시(栤)의 공산보(公山譜), 항(恒)의 반송보(盤松譜) 주(胄)의 경보(京譜), 규(珪)의 주동보(注洞譜), 상하(尙 夏)의 청풍보(淸風譜)를 합펴서 편찬한 보(譜)임.⑤ 갑인보(甲寅譜)권수 : 17권발간연대 : 영조10년(1734)26세손 권덕수(權德秀)가 편집 간행하였음.⑥ 후갑인보(後甲寅譜)권수 : 34권발간연대 : 정조18년(1794)28세손 국포(國圃) 유(裕), 학림(鶴林) 방(訪)이 구보 (舊譜)를 참고로 편찬하였음.⑦ 병진보(丙辰譜)권수 : 13발간연대 : 철종7년(1856)군수 영규(永圭)가 그의 자 종건(鍾健)과 함께 구보(舊 譜)을 참고로 판찬 발간했음.⑧ 경오보(庚午譜)권수 : 20권발간연대 : 고종7년(1870)군수 형규(衡圭), 유학(幼學) 종순(鍾純), 종대(鍾大), 하규(夏圭), 봉사(奉事) 철수(徹洙)가 구보(舊譜)를 참고 로 편집 간행함.⑨ 정미보(丁未譜)권수 : 49발간연대 : 순종1년(1907)참찬(參贊) 중석(重奭), 참령(參領) 중락(重樂), 참판(參 判) 병승(丙承), 주사(主事) 병준(丙準), 중달(重達), 유학(幼學) 병식(丙軾), 도사(都事) 중일(重一) 등이 간행 했다. ☆ 현대의 족보2010 인구조사에 의하면 안동권씨는 金李朴崔姜尹韓에 이어 65만명에 이르는 거대성씨로 발전하여 모든 이를 수록하는 대동보의 작성 편찬도 어렵거니와 이를 관리하기에도 비능률적이다. 따라서 각파 문중에서 파보나 세보를 만들거나 가첩으로 대신할 수 밖에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우리 문중에서 최근에 발간한 파보는 병오년(1966)에 간행된 충정공파보와 무자년(2008)에 權隆이 간행한 안동권씨 충정공파보이다.또한 안동권씨대종회에서는 2004년 10월 CD로 된 한글판 안동권씨대동보(한자병기)를 발간하여 IT시대에 걸맞는 족보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로서 활자판 족보의 시대는 가고, 찾기 쉽고 알기쉬운 전자족보시대가 활짝 열린 것으로 보인다.아래 사진은 한글한자병기 전자족보(CD로 발행된 안동권씨대동보)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