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방기행 3 페이지 > 창원박씨종친회
密城大君后 昌原君襄靖公 - 창원박씨 종친회
철원파
|
사적
|
장단파
|
창원박씨
|
박령
|
유적
密城大君后 昌原君襄靖公 - 창원박씨 종친회
0
종친회
인사말씀
회장단
조직/임원록
임원록
제관록
연혁
종헌 종규 휘장
종규
휘장
회계(수도권)
지출
수입
행사일정
시제일
회의
모임
뿌리알기
유래
시조
유적
유적
유물
문집
기타
사적
집성촌
참고문헌
인물정보
역대인물
공헌인사
저명인사
종원동정
E-족보
철원파보2013
장단파보1972
고흥파보2003
경현사지2006
전통자료
계촌법
관작대조표
연대대조표
조선왕조관직
포토/영상
행사사진
행사영상
박씨뉴스
보학상식
이야기마당
종친컬럼
건강
유머
여행문학
문화예술
역사철학
건축
영화예술
정치경제
일상
기타
탐방기행
국내탐방
해외기행
기타
장터마을
특산품
신상품
중고품
공동구매
구해요
커뮤니티
알림마당
종친회보
질문답변
FAQs
묻고
답변
임원회의실
회의공지
회의결과
기타
링크 & 사이트맵
종친회
인사말씀
회장단
조직/임원록
연혁
종헌 종규 휘장
회계(수도권)
행사일정
뿌리알기
유래
시조
유적
사적
집성촌
참고문헌
인물정보
역대인물
공헌인사
저명인사
종원동정
E-족보
철원파보2013
장단파보1972
고흥파보2003
경현사지2006
전통자료
포토/영상
행사사진
행사영상
박씨뉴스
보학상식
이야기마당
종친컬럼
탐방기행
장터마을
커뮤니티
알림마당
종친회보
질문답변
FAQs
임원회의실
링크 & 사이트맵
Home
종친회
뿌리알기
인물정보
E-족보
포토/영상
이야기마당
커뮤니티
탐방기행 Tour Posting
탐방기행 Tour Posting
홈 > 이야기마당 > 탐방기행 > 해외기행
탐방기행
검색조건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또는
그리고
검색
Hot
해외기행
(18) 조화의 향훈을 풍기는 백제금동대향로
관리자
0
0
3863
2019.01.03
(18) 조화의 향훈을 풍기는 백제금동대향로△ 백제금동대향로. 국립부여박물관 소장향로속 삼라만상 백제혼의 향기 그윽지금으로부터 11년 전, 그해도 저물어가는 섣달 어느날, 충남 부여 능산리 고분군과 부여 나성 사이의 자그마한 계곡의 물구덩이에서 20세기에 보기드문 고고학적 ‘월척’을 낚았다. 궁전에서 제례 때 쓰던 대형 향로의 발견이다. 장소는 옛날 백제 때 공방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큰 물통 속이다. 아마 나라가 갑자기 무너지는 바람에 이 국보급 보물을 예사롭지 않은 이곳에 서둘러 감추어 놓았던 것 같다. 아이러니하게…
Hot
해외기행
(17) 신라의 금관
관리자
0
0
8203
2019.01.03
(17) 신라의 금관△ 천마총에서 출토된 5~6세기 신라 금관(〈국립경주박물관〉, 통천문화사, 1989, 77쪽)고대 황금시대의 꽃동쪽끝 금관의 나라지금으로부터 83년 전 9월 어느날, 경주 노동리 봉황대 주변에서 자그마한 주막을 운영하던 박씨는 장사가 무척 잘되자 주막을 늘리기로 작정하고 뒤뜰의 나지막한 언덕을 파기 시작했다. 신령 탓에 장사가 잘되는 줄로만 생각하고 있던 그에게 값어치를 매길 수 없는 뜻밖의 횡재가 찾아왔다. 고색창연한 황금빛 금관이 나온 것이다. 그 관이 바로 1500여 년의 긴 잠에서 깨어난 금관총 금관이다.…
Hot
해외기행
(16) 세계와 사통팔달한 발해
관리자
0
0
7113
2019.01.03
(16) 세계와 사통팔달한 발해어울림문화 꽃피운다섯갈래 국제교류망발해는 동방의 강대국답게 튼튼한 국가체제에 기반하여 5대 교통로를 통해 세계와 사통팔달함으로써 주권국가로서의 국제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따라서 장안에 버금가는 수도를 가진 대제국 발해를 누구에게 얽매인 변방의 한 소수민족 정권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역사의 변조이고 왜곡이다. 발해의 국제성은 우리 민족사의 정통 계승국으로서, 당대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한 주역으로서 응분의 국제적 대응과 교류를 진행한 데서 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발해는 건국에서 멸망(698~926)에 이르기…
Hot
해외기행
(15) 변조될 수 없는 발해의 정체성
관리자
0
0
5747
2019.01.03
(15) 변조될 수 없는 발해의 정체성 △ 발해의 첫 도읍지인 동모산 산성(전쟁기념관 발행, 발해 건국 1300주년 기획전 ‘발해를 찾아서’, 1998년, 10쪽) 문화도 종족도 발해는 ‘고구려 아들’중국이 고구려에 이어 발해까지도 자국의 영토에 편입시켜 변방의 한 소수민족이 세운 지방정권으로 역사를 변조하려는 어마어마한 ‘공정’이 지금 막 장막 뒤에서 시공 중에 있다. 조만간 장막이 걷히면서 발해 유적의 유네스코 단독 등재 등 그 ‘변조’가 가시화될 것이다. 그때가 되면 우리는 고구려 문화유산 등재에서 당한 ‘반판승’보다도 더 참…
Hot
해외기행
(14) 수난의 발해사
관리자
0
0
10275
2019.01.03
(14) 수난의 발해사해동성국의 광채날조의 티끌로 가릴수야 지금으로부터 53년 전, 옌볜고급중학교 2학년 때, 몇몇 학우들과 함께 발해의 옛터를 찾아 수학여행에 나섰다. 간 곳은 발해의 5경 중 가장 오랫동안 수도였던 상경성(상경용천부:현 닝안시)과 부근의 경박호였다. 사실 옌볜은 이 5경으로 에워싸인 고장이라서 어릴 적부터 발해에 관한 이야기를 적잖게 들어왔다. 그 중에서도 발해의 마지막 왕이 보석거울을 물속에 감췄다고 하여 이름 지어진 경박호(鏡泊湖)는 그 신비로운 거울빛으로 하여 늘 동경의 대상이었다. 막상 가보니 고즈넉한 황…
Hot
해외기행
(13) 진취적인 고구려의 교류상
관리자
0
0
6198
2019.01.03
(13) 진취적인 고구려의 교류상△ 각저총의 씨름도와 모사도 (4세기 말, 위책 3, 101쪽과 95쪽) 중국 안거치고 서역과 직교류선진문화 창달지난 7월 초 중국 쑤저우에서 열린 제2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고구려 유적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 등재되었다. 뒤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그나마도 다행이다. 이 등재를 둘러싸고 우리가 유네스코와 몇 년 동안 줄다리기를 벌이다가 가까스로 등재를 성사시켰지만, ‘완승’은 아니고 ‘반판승’이다. 우리의 문화유산 절반을 중국에 빼앗긴 꼴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분명 역사의 상실이다…
Hot
해외기행
(12) 당당한 고구려의 국제성
관리자
0
0
5614
2019.01.03
(12) 당당한 고구려의 국제성△ 사마르칸드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의 고구려 사절.(조우관을 쓴 두 사람) 대제국 고구려서역과 손잡고 수·당을 협공하다 역사에서 보면, 한 나라의 생존은 다른 나라들과의 관계, 즉 그 국제성에 크게 의존한다. 특히 역사의 격변기에는 그 의존도가 더욱 높다. 그런데 이러한 국제성은 국가의 권력행위에서 나타난다. 국제관계에서 권력행위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능력과 다른 나라로부터의 영향을 거부하는 능력을 발휘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국제성은 한 나라의 정체성이나 자주성을 가늠하는…
Hot
해외기행
(11) 지울 수 없는 고구려의 정체성
관리자
0
0
4259
2019.01.03
(11) 지울 수 없는 고구려의 정체성△ 동방의 피라미드 고구려의 옛 도읍 지안현 퉁거우에 있는 장수왕릉인 장군총(가로 31.5m, 높이 약 13m).중국인교수는 나를 꼬리렌이라 불렀다 고구려의 옛땅 옌볜(연변)은 필자가 나서 자란 고장이다. 거기서 고구려의 떳떳한 후예로 자부하면서 겨레의 역사를 배웠고 겨레의 얼과 넋을 키웠다. 꼭 50년 전 이맘때, 그러니까 대학교(베이징대) 3학년 여름방학 때, 고구려 수도였던 지안현 퉁거우로 찾아갔다. 유유히 흐르는 압록강 북안에 자리잡은 그곳 룽산의 나지막한 언덕 위, 우거진 숲 속에서 그…
Hot
해외기행
(10) 동아시아의 유리의 보물창고
관리자
0
0
4339
2018.09.21
(10) 동아시아의 유리의 보물창고 △ 경주 98호 고분에서 출토된 새머리모양 유리물병(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셔블 발기 다래’더 반짝인 카이로의 유리병 11년 전 여름, 숱한 수수께끼를 안고 ‘유리의 길’을 추적하던 한 방송사 취재팀과 함께 그 길의 서단에 위치한 이집트 카이로에 도착했다. 수소문 끝에 ‘다우르’란 가장 오래된 유리공장을 찾아갔다. 허술하기 이를데 없으나 진열한 수백 종의 오색창연한 유리그릇은 대대로 유리그릇만을 만들어 온 공장의 유구한 내력을 여실히 말해준다. 취재팀은 경주 98호 고분 남분(4세기 후반)에서 …
Hot
해외기행
(9) 어우름이 돋보이는 고구려 건국신화
관리자
0
0
4560
2018.09.21
(9) 어우름이 돋보이는 고구려 건국신화 △ 평양에 있는 동명왕릉 하늘의 정령 물의 정령 받아알에서 태어난 주몽 지구상의 어디든, 고대 국가의 건국과정은 대부분 신화로 윤색되어 전해오고 있다. 신화의 주인공은 예외없이 건국자이며, 신화의 구성은 대체로 건국의 기틀이 마련된 후에 완성되며, 그때까지를 ‘신화시대’라고 한다. 따라서 건국신화의 내용은 건국의 과정을 때로는 사실적으로, 때로는 상징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그래서 건국신화는 오래 전승되는 ‘왜곡 없는 윤색’이니, ‘강요하지 않는 신앙’이니 하는 평을 받는다. 고대 국가의 건국…
Hot
해외기행
(8) 만남의 인연을 맺어준 허황옥
관리자
0
0
5419
2018.09.21
(8) 만남의 인연을 맺어준 허황옥 △ (좌로부터)수로왕비 허황옥 영정·수로왕 영정 천축국 공주임찾아온 뱃길2만리 2천년 전 가락국 수로왕의 배필로 이 땅에 온, 현숙한 외방 여인 허황옥(許黃玉:허왕후)은 지금도 우리 속에 살아 있다. 2년 전 부산 아시아경기대회 개막식에서는 36억 아시아인의 하나됨을 상징하여 수로왕과 허왕후의 만남이 재현되었다. 해마다 치러지는 김해의 수로제에서 왕은 왕후 일행을 반갑게 맞이한다. 몇 해 전에는 인도의 한 점성가가 한국에서 차기 ‘구국의 큰 별’은 가락 김씨 가문에서 나올 것이라는 솔깃한 점괘를 …
Hot
해외기행
(7) 한중 교류의 서막을 연 서복
관리자
0
0
5262
2018.09.21
(7) 한중 교류의 서막을 연 서복 △ 서복의 고향인 중국 장쑤(강소)성 간위(감유)현 서복사당에 있는 좌상과 서복 일행이 내한할 때 이용했을 범선. 서귀포시 제주서복연구회,<정방폭포서복유적조사보고서>(1992년) 8쪽. 불로초 얻었는가, 해동땅 건너온 그대 어릴적 어른들로부터 불로초를 구하러 진시황이 동남동녀 수천 명을 우리나라쪽에 보내왔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 그런 선약을 구해 갔는지, 못갔는지는 저마다 하는 소리가 달라서 종잡을 수 없었고, 또 그들이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도 통 오리무중이었다. 그저 심심파적의 흥…
Hot
해외기행
(6) 수천년의 유대를 지켜온 벼
관리자
0
0
4350
2018.09.21
(6) 수천년의 유대를 지켜온 벼 △ 충북 청원군 옥산면 소로리 구석기 유적에서 출토된 1만7000~1만3000년 전 볍씨. 출처는 ‘소로리 사이버박물관’(
Hot
해외기행
(5)유라시아의 슬기를 아우른 동검
관리자
0
0
4124
2018.09.21
(5)유라시아의 슬기를 아우른 동검 △ 칼몸체가 반듯하게 가는 직선을 이룬 한국식 세형동검의 복원품. 청동기 시대의 상징적인 유물이라 할 수 있다. 도판출처 <한국생활사박물관02>(사계절 펴냄, 2000) 먼길 온 청동칼 호리호리해진 몸매 얄팍한 ‘왜학(倭學)’의 곡필과 우리의 후진 속에 오롯한 문명사의 한 장이 자칫 지워질 뻔했다. 옛 이야기가 아니다. 1920년대부터 일본 고고학계에서는 한국에 청동기 시대가 없었다는 ‘청동기 부재설’을 꾸며내면서 제멋대로 신석기 시대와 철기 시대 사이에 이른바 ‘금석병용기 시대’라는 …
Hot
해외기행
(4)거석문화사에 우뚝 선 고인돌
관리자
0
0
4976
2018.09.21
(4)거석문화사에 우뚝 선 고인돌 △ 강화도 하점면 부근리에있는 고인돌인 사적 137호 강화지석묘. 한겨레 자료사진 다음세상 꿈꾼 한반도 불멸의 넋 흔히들 돌을 무지나 아둔함, 그리고 무언에 빗댄다. 그러나 인간의 슬기가 스며들었을 때, 돌은 ‘불멸의 상징’이나 ‘수호신’ 으로 둔갑되기도 하고, 말도 한다. 그래서 버려졌던 큰 돌들이 인간의 주목을 받고, 인간은 이러한 돌들과 긴 시간여행을 떠나기 시작했는데, 그 역사는 백년도 채 안된다. 거석이란 선사 시대에 무엇을 기리거나 상징하기 위하여 큰 돌로 만든 구조물, 즉 거석기념물을 …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추천순
정렬
목록
검색
1
2
3
4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Login
Login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
정보찾기
Social Login
Category
종친컬럼
탐방기행
국내탐방
해외기행
기타
장터마을
+
최신글 Latest Posts
03.21
석재 박기옥 화백 부친상 (발인 2025.3.22 08:30) 벌교 춘추장례식장
02.18
한빛신문 216호 (2024년 12월30일)
02.18
한빛신문 215호 (2024년 11월30일)
02.18
한빛신문 214호 (2024년 10월30일)
02.18
한빛신문 213호 (2024년 9월30일)
02.18
한빛신문 212호 (2024년 8월30일)
02.18
한빛신문 211호 (2024년 7월30일)
02.18
한빛신문 210호 (2024년 6월30일)
02.18
한빛신문 209호 (2024년 5월30일)
02.18
족보종류, 통칭, 개인기록 예 및 기록내용
02.18
동방(同榜)이란 과거에 함께 합격한 동기들, 한 번 동기는 영원한 동기
02.12
박진걸 무과급제 교지(강희 15년, 1676년 3월3일, 숙종2년
07.03
석재 박기옥(22세손) 화백 2024년 제43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비구상부문 한국화 특선
05.29
[부음] 고흥 성모재 총무 박성길님 모친상
05.15
한빛신문 208호 (2024년 4월30일)
박종세 회고록
종친회보열람
빠른 링크 Quick Links
사이트 현황 State 20180805
현재 접속자
0 명
오늘 방문자
610 명
어제 방문자
990 명
전체 방문자
861,834 명
전체 게시물
896 개